반응형

경영학 195

[인간관계론] 5. 인간행동의 개요와 과정

1. 인간행동의 개요와 과정 1) 인간행동의 개요 인간은 허기나 갈등과 같은 생사와 관련된 욕구로부터 자아실현의 욕구에 이르기까지 여러 가지 욕구를 가지고 있다. - 이런 욕구들은 항상 활동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욕구가 전면에 표출되어 있을 때 다른 욕구는 이면에서 잠자고 있는 것도 많다. - 다른 자극에 의하여 일어난 잠자고 있던 욕구는 그 자체가 하나의 힘이 되어 인간에게 작용하여 인간을 행동케 한다. - 인간을 움직이게 하는 원동력(혹은 행동의 동기)이 되는 욕구는 일단 활동을 개시하게 되면 그 만족을 요구하게 된다. - 자기의 내부로부터 작용해서 일어나는 욕구에 의하여 작동되는 인간은 반드시 환경과의 교섭을 갖지 않으면 안 된다. - 인간의 행동은 환경의 조건에 의해서 일정한 제한을 받고 있는 ..

[경영학개론] 9. 경영의 발전 과정

1. 역사시대와 경영 1) 고대 국가 - 피라미드의 건설, 꺄르낙 마을의 돌기둥 : 많은 인원과 노동량이 필요 - 피라미드 건설용 돌을 깨러 가던 채석단 8,800여 명의 세분화된 구조 - 그리스 철학자 크세노픈의 분업 : 신발 제조를 위한 분업 강조 - 구약성경 출애굽기 : 계층조직과 권한 위임의 법칙 - 로마 군대 계층 조직 : 오늘날의 열린 경영방식과 유사한 부분이 있음. 2) 중세시대 - 가부장제(paternalism) : 성주는 농민들을 대가족의 부모처럼 보호해주고, 농민들은 성주에게 충성을 다하며 삼포제로 전원 경작을 함. - 종교적 경영 체제 → 근대적 농업경영조직 - 이탈리아 상인들이 고안한 복식부기 회계 방식 - 베네치아 공화국의 목조군함의 분업적 생산라인 방식 - 십자군 전쟁에 편승한 ..

[경영학개론] 8. 경영자에 대한 이해

1. 경영자의 의미와 자질 1) 경영자의 분류 (1) 계층에 따른 분류 - 일선경영자(first-line manager) : 작업자의 활동을 감동하고 조정한다. - 중간경영자(middle manager) : 일선경영자를 지휘하고, 능력을 조화롭게 한다. - 최고경영자(top manager) : 경영에 책임이 있는 자로서 조직계층상 최상층에 속한다. (2) 조직 내 활동의 범위에 따른 분류 - 직능경영자(functional manager) : 조직의 직능분야(인사, 마케팅, 생산, 재무)에 대한 활동 책임이 있는 경영자 - 전반경영자(general manager) : 조직의 하위 단위 모든 경영활동에 참여하는 경영자 2) 경영자가 필요한 자질(경영기술) - 개념적 자질(상황판단능력 : conceptual ..

[경영학개론] 7. 경영에 대한 이해

1. 조직과 경영 1) 우리의 일상생활과 조직의 필요성 (1) 인간은 사회적 동물 (2) 하나 이상의 조직에서 살아감 - 자신의 의지와 무관한 경우 (예: 가족, 초등학교 등) - 자신의 의지에 따른 경우 (예: 동아리, 직장, 친목 모임 등) - 공식적 조직인 경우 : 학교, 학원, 회사 등 - 비공식적 조직인 경우 : 개인적인 모임 등 (3) 조직(organization) : 어떤 역할이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협동하는 체계 2) 조직의 특징 3) 조직과 경영 (1) 조직의 특성 - 나름대로 달성하고자 하는 독특하고 고유한 목표를 가진다. - 모든 조직은 사람으로 구성되어 있다. - 조직은 조직을 구성하고 있는 구성원들의 행동을 정의하거나 제한하는 체계화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2) 조직이 사회..

[경영학개론] 6. 기업윤리와 사회적 책임

1. 기업윤리의 정의와 구분 1) 기업윤리 : 기업 활동과 관련한 공정, 정의, 양심, 선행, 준법정신, 도덕, 규범 등을 지키는 것. (1) 비윤리적 경영활동 - 기업의 윤리경영 경계는 불분명 - 조직의 비윤리적 행동에 대한 판단과 포용, 그리고 기업의 목표 달성과의 관계 (2) 윤리인가? 비윤리인가? - 합법적이면서 무책임한 행동은 사회적 책임을 다한 것인가? - 시대, 사람, 나라마다 판단과 주장이 달라 결론 도출 어려움 - 동시대를 살아가는 사회구성원들의 일반적인 가치 판단 2) 기업윤리의 구분 - 기업의 사회적 책임 수행과 이윤추구 행위는 상호 이율배반적 목표인가? - 기업은 윤리실천과 이윤 추구 활동 사이의 균형을 잃지 말아야 함. - 기업이 충족해야 할 고객, 종업원, 주주, 정부, 사회단체..

[경영정보시스템] 16. 전자상거래와 인터넷

1. 공급사슬관리 시스템 가. 공급사슬(supply chain): = 다음을 위한 조직 및 프로세스들의 네트워크: 원재료 획득, 제품으로의 변환, 제품의 유통 상류(upstream) 공급사슬: 기업의 공급업체, 공급업체의 공급업체, 이 업체들간의 관계를 관리하기 위한 프로세스 하류(downstream) 공급사슬: 고객에게 제품을 유통하기 위한 조직과 프로세스들 내부 공급사슬 나. 공급사슬관리 - 비효율성은 기업 운영경비에 영향을 줌 회사 운영경비의 25% 가량이 낭비될 수 있음 JIT(Just-in-Time) 전략: 필요한 시점에 부품에 도착함, 완성된 제품은 제품라인을 벗어나자마자 선적됨 안전 재고량(safety stock) : 공급사슬의 유연성 부족에 대한 완충 역할 채찍효과(bullwhip effe..

[경영정보시스템] 15. 공급사슬관리 시스템과 고객관계관리 시스템

1. 전사적 시스템 가. 전사적 시스템(enterprise system) 개요 - 전사적자원관리(Enterprise Resource Planning: ERP)시스템 - 통합된 소프트웨어 모듈들과 하나의 중앙 데이터베이스 - 기업 내부의 거의 모든 비즈니스 활동에 활용하기 위해 여러 부서의 데이터들을 수집함 - 하나의 프로세스에서 입력된 정보는 즉시 다른 프로세스들에서도 사용 가능함 나. ERP 등장 배경 1960년대 제조업의 재고관리를 위한 컴퓨터 시스템 1951년 LEO MARK I 등장(최초의 업무용 컴퓨터) 1970년대 생산계획과 재고관리를 위한 MRP 시스템 등장 1980년대 MRPII 등장 - ERP 이전에는 기능 영역별로 독립된 정보시스템을 사용 - 각 시스템은 서로 인터페이스 되도록 설계되지..

[경영정보시스템] 14. 전사적 애플리케이션

1. 시스템 취약성과 오남용 가. 보안: 정보시스템에 대한 인증되지 않은 접속, 변조, 절도 및 물리적 침해를 방지하기 위한 정책, 절차 및 기술적 기준 나. 통제: 조직 자산의 안정성, 회계 기록의 정확성과 신빙성, 경영 표준에 대한 운영상의 수성(adherence)을 확보하기 위한 방법, 정책 및 조직 절차 다. 왜 시스템은 취약한가? - 네트워크의 쉬운 접근성 - 하드웨어 문제 (고장, 설정 오류, 부적절한 사용이나 범죄 행위에 의한 손상) - 소프트웨어 문제 (프로그래밍 오류, 설치 오류, 허가 없는 변경) - 자연재해 - 기업의 통제 밖에서의 네트워크/컴퓨터 사용 - 휴대용 기기의 분실 및 절도 라. 인터넷 취약성 - 네트워크는 누구에게나 개방되어있음 - 인터넷의 규모가 방대함에 따라 오남용이 ..

[경영정보시스템] 13. 정보시스템 보안

1. 비즈니스 환경에서의 통신과 네트워크의 역할 가. 네트워킹과 통신 추세 융합: 전화 네트워크와 컴퓨터 네트워크가 인터넷 표준을 따르는 하나의 디지털 네트워크로 융합됨 광대역: 미국의 74% 이상의 인터넷 사용자들이 광대역 접속을 사용함 광대역 무선: 음성과 데이터 통신 뿐만 아니라 인터넷 접속도 점점 광대역 무선 플랫폼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음 나. 컴퓨터 네트워크 - 둘 혹은 그 이상의 접속된 컴퓨터 - 단순한 네트워크를 이루는 구성요소들 ① 클라이언트 컴퓨터와 서버 컴퓨터 ②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NICs) ③ 전송 매체 ④ 네트워크 운영 시스템 ⑤ 허브, 스위치, 라우터 - 소프트웨어 정의망 (SDN) : 하나의 중앙 프로그램을 통해 네트워크 제어 기능의 대부분을 관리하고자 하는 최신 네트워킹 방..

[경영정보시스템] 12. 의사결정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활용

1. 빅데이터와 비즈니스 인텔리전스 기반구조 가. 빅데이터(big data) 1) 빅데이터의 특성 - Volume: 초대용량의 데이터, Exponential Increasing - Variety: 다양한 형태, Structured data와 비정형 data - Velocity: Near real time - Value: Predict와 Optimize 2) 빅데이터의 등장배경 데이터 규모 EB(Exa Byte) : 90년대 말 = 100EB ZB(Zetta Byte) 진입 : 2011년 = 1.8ZB ZB 본격화 시대 : 2020년 – 2011년 대비 50배 증가 데이터 유형 정형 데이터 : 데이터베이스, 사무정보 비정형 데이터 : 이메일, 멀티미디어, SNS 사물정보, 인지정보 : RFID, Senso..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