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경영학 197

[마케팅원론] 4. 거시적 환경요인

1. 인구통계적 환경 인구통계적 환경을 통한 인구성장률, 성별, 연령분포, 인구밀도, 직업, 교육수준, 가족구성, 결혼여부, 주거지역, 인종 등과 같은 측정가능한 인구특성들을 말함 마케팅관리자는 이러한 인구통계적 변수에 깊은 관심을 갖고 지켜보아야 함 인구통계적 환경의 변화는 기업에게 새로운 시장기회를 제공하기도 하고 기존시장에서의 경영활동을 위축시키기도 함 - 예 : 출생률의 감소로 인하여 아기용품시장은 매년 줄고 있음 : 아기, 옷, 아기 침대, 우유, 병, 장난감 등을 제조하는 기업들에게는 커다란 위협요소가 되고 있음 인구통계적 환경은 다른 환경요인에 비해서는 비교적 예측이 가능함 - 전쟁, 천재지변 등 갑작스런 상황의 변화가 없다면 안정적인 변화를 보이며, 그 양상은 추세변동의 형태를 보이기 때문..

[마케팅원론] 3. 마케팅환경의 의의 및 미시적 환경요인

1. 마케팅환경의 의의 1. 마케팅환경의 정의 1) 마케팅 환경이란 기업의 마케팅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모든 환경을 말함 - 마케팅환경은 아주 빠른 속도로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음 - 시장의 기회와 위협으로서 존재하는 것임 2) 마케팅 환경의 중요성 마케팅활동에서 환경이 중요한 이유는 기업에게 무한한 위협과 기회를 제공함 - 위협 : 기업이 환경변화에 잘 대응하지 못할 경우 마케팅 목표달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는 사건이나 추세 - 기회 : 기업이 환경변화에 적절히 대응할 경우 마케팅 목표달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는 사건이나 추세 3) 미시적, 거시적 환경 (1) 미시적 환경 기업과 소비자와의 관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기업 가까이에 있는 환경 기업내부요인, 공급업자, 마케팅 중간상..

[생산관리] 12. 전략적 능력계획 2

1. 생산능력계획에서의 고려사항 가. 생산운영시스템의 균형 (Balance) 다단계 프로세스는 각각의 프로세스가 서로 영향을 주며 전체 프로세스의 능력은 이러한 프로세스간의 영향에 의해 결정됨 완벽하게 균형이 잡힌 프로세스는 바람직한가? 1) 여러 단계로 구성된 프로세스에서 각 단계의 최적 운영 수준은 모두 다를 수 있음 2) 변동(수요 변동, 프로세스 변동)이 발생하는 경우 완벽하게 균형이 잡힌 프로세스를 유지할수 없음. -> 따라서, 완벽하게 균형이 잡힌 프로세스의 구성은 가능하지 않으며 바람직하지도 않음. 프로세스 불균형의 해결 방안: 병목에 집중 1) 병목 공정의 생산 능력 증가: 잔업, 장비 임대, 하청 2) 병목 공정의 이용률 최대화: 병목 단계 앞에 재고를 두어 병목 공정의 최대 가동 유지 ..

[생산관리] 11. 전략적 능력계획 1

1. 생산능력(Capacity)의 개념 생산운영시스템이 정해진 시간 동안 생산할 수 있는 산출물의 총량 (예) 식당 : 정오부터 오후 1시까지(1시간 동안) 서비스 가능한 고객의 수 자동차 공장 : 1교대(8시간) 동안 생산 가능한 자동차의 수 생산 능력은 투입 자원 대비 산출물의 종류를 고려하여 결정됨 (예) 자동차 공장의 투입이 연간 10,000 labor hour인 경우 (1) 2 door car model을 생산할 경우 : 50,000 대/년 (2) 4 door car model을 생산할 경우 : 40,000 대/년 -> 따라서, 생산능력은 투입 자원 뿐 아니라 산출물의 종류 또는 믹스에 따라 달라지며, 자동차 공장의 연간 생산능력이 100,000대라고 할 경우에는 어떤 모델 또는 모델들의 믹스에..

[생산관리] 10. 제품 및 서비스 설계 프로세스 2

1. 고객지향적 설계 - 고객 입장에서의 설계 측면에 대한 이해가 필요 - 사용자들을 위한 제품 설계는 일반적으로 산업디자인의 영역 - IDEO사의 디자인씽킹 프로세스(브레인스토밍과 프로토타이핑) - 사용하는 사람의 입장에서 제품을 디자인하는 것이 중요함 가. 품질기능 전개(Quality Function Deployment) - 고객의 요구사항을 수렴하여 제품설계 단계에서부터 포함시키는 접근법 - 도요타 자동차 : 마케팅, 설계, 생산 등 Cross Functional Team을 통해 설계시간을 60% 단축 - 시장조사를 통해 제품에 대한 고객요구사항 도출 - 고객요구사항(Customer Requirements)을 품질의 집(House of Quality)로 정리하여 제품설계 및 생산의 기본 목표로 전환..

[생산관리] 9. 제품 및 서비스 설계 프로세스 1

1. 본원적 제품개발 프로세스 가. 정의 - 제품설계에 필요한 기본 단계를 설명하는 본원적 제품개발 프로세스는 기업이 제품을 착상하여 설계하고 출시하기 위해 기업이 동원한 일련의 기본적인 단계와 활동 - 물리적인 활동이 아닌 지적인 활동 - 모든 조직은 서로 다른 개발 프로세스를 가진다. 나. 본원적 제품개발 프로세스의 구성 0단계 : 계획 (Planning) - 기업의 전략에서 시작되며 기술개발 및 시장목표의 평가를 수행 1단계 : 개념개발 (Concept Development) - 목표시장의 니즈를 규명, 제품 개념 대안들을 만들고 평가하여 한두 개 개념을 선택 2단계: 시스템-수준설계 (System-Level Design) - 제품 아키텍쳐(architecture)의 정의, 제품과 부분품 및 부품의..

[생산관리] 8. 제조 프로세스 2

1. 제조 프로세스의 선택 방법 - 프로세스 선택은 제품을 생산하거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어떤 종류의 제조 프로세스를 사용하는가를 선택하는 전략적 의사결정 - 예를 들어 도시바 노트북의 경우 - 생산량이 적으면 한 작업자가 수동으로 조립할 수 있고. - 생산량이 많으면 조립라인에서 조립하는 것이 적절하다. 가. 제조 Process 선택 : 제품/프로세스 행렬 나. 제조 Process 선택 : 제품 수명주기 2. 제조 프로세스 유형별 설비배치 가. 설비배치의 정의 - 설비 배치란 공장 또는 서비스 시설 내에서 부서의 위치와 설비의 배열 결정 나. 설비배치의 유형 다. 제조 프로세스 유형과 설비배치의 관계 - 라인 공정↔ 제품별 배치 - 단속 공정↔ 공정별 배치 - 프로젝트 공정↔ 고정위치배치 라. 설비..

[생산관리] 7. 제조 프로세스 1

1. 제조 프로세스의 분류(Process Flow Structures) Continuous Process (연속 프로세스) - 매우 대량의 표준화된 제품을 끊이지 않고 연속해서 생산 - 정유, 화학, 제지, 음료, 전기 등 속성상 나눌 수 없는 것들이 대부분임 Flow Shop (조립 라인) - 대량의 표준화된 제품을 생산, 단위 제품 - 자동차 조립, 전자 제품 조립 등 Cellular Production (제조 셀) - 유사한 특징을 갖는 제품들을 셀(Cell) 단위로 묶어서 생산 Job Shop (작업장) - 다양한 종류의 제품을 소량 단위로 생산 - 공작 기계, 주문형 PCB 생산 등 Project Operations (프로젝트) - 고객 주문에 따라 규모가 큰 단일한 제품을 일정 기간 동안 생산..

[생산관리] 6. 프로세스 분석 2

1. 생산운영 프로세스의 분류 2. 프로세스 성능 측정 1) 프로세스 성능 측정의 중요성 - 프로세스 성능을 정확하게 측정하면 조직의 의사결정을 위해 중요한 정보를 제공 - 기업마다 서로 다른 프로세스 성능 측정기준을 사용 - 기업의 개선활동을 위해 필요함 - 프로세스 개선이 미치는 영향을 예상할 수 있음 2) 프로세스 성능 측정 지표 가. Operation Time(운영시간) - 가동준비시간과 가공시간의 합(Setup Time + Run Time) - 예시) 16온스 박스에서 12온스 박스 생산으로 기계 배치를 바꾸는데 가동준비시간이 30분 소요 - 가동준비시간(setup time)을 ‘초’단위로 계산하면? 30 (min) * 60 (sec) = 1,800 - 12온스 박스 10,000개를 생산하는데 ..

[생산관리] 5. 프로세스 분석 1

1. 프로세스의 정의 - 조직이 한 개 이상의 입력을 통해서 가치 있는 산출물을 제공하는 모든 관련 활동들의 집합 - 기업의 대부분의 기능은 프로세스로 볼 수 있음 : 채용 프로세스, 시장조사 프로세스 등 - 프로세스의 기본적 기능은 입력을 보다 가치 있는 출력으로 변환시키는 것임 - 생산운영시스템을 하나의 프로세스로 볼 수 있으며, 이 프로세스는 다시 여러 개의 단위 프로세스로 나누어서 볼 수 있음 -> 계층적 구조 2. 프로세스 분석 1) 프로세스 분석의 목적 - 프로세스의 대한 이해 : 프로세스의 성능/문제점 분석 - 프로세스 개선 : 프로세스 성능 향상 2) 프로세스 분석과 관련된 일반적 질문들 - 단위 시간당 생산 가능한 제품의 수는 얼마나 되는가? - 하나의 제품을 생산하는데 필요한 시간은 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