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경영학/생산관리 27

[생산관리] 26. 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

1. ERP 시스템의 개념과 도입목적1) ERP 시스템의 정의패키지화된 비즈니스 시스템으로서 - 비즈니스 업무의 대부분을 자동화하고 통합한다. - 전사적으로 데이터와 업무 규칙을 공유하도록 한다. - 실시간으로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2) ERP 시스템 등장 배경- ERP 이전에는 기능 영역별로 독립된 정보시스템을 사용 - 각 시스템은 서로 인터페이스 되도록 설계되지 않았다. - 정보는 종이 문서에 의해 교환 - 업무 효율성을 높이고, 효과적인 의사결정을 하기 위해 통합된 데이터처리 시스템 필요3) ERP 시스템의 발전과정 4) ERP 시스템의 도입목적 5) ERP 시스템 구축의 기대효과 2. ERP 시스템의 주요기능과 특징1) 특징- 다국적, 다통화, 다언어(GLOBAL..

[생산관리] 25. JIT / Lean 생산 Ⅰ

1. Lean 생산의 논리1) Lean 생산의 개요• 최소의 원자재, 재공품, 완제품 재고를 유지하면서 대량 생산을 달성하기 위한 통합된 활동 ➔ Just in time • 무재고 지향 : “필요하지 않은 것은 생산하지 않는다.” ➔ Pull system (모든 생산은 시장 수요로부터 시작) • 린 생산은 방법론들의 집합이 아니라 생산운영의 철학으로 볼 수 있음: 가치를 창출하지 못하는 모든 요소들(낭비)의 제거 • 린 생산은 Toyota의 JIT (Just In Time)을 확장한 개념: 린 생산의 범주에서 좁은 의미의 JIT는 생산계획/통제 방법론을 의미함. • 린 생산의 개념은 서비스업에도 적용됨 ➔ Lean Service 2) Lean 생산의 특징 2. 도요타 생산방식1) TPS의 기본 요..

[생산관리] 24. 일정계획 Ⅱ

1. 병목의 개념과 원칙1) 개념- 병목은 전체 시스템 흐름 중에서 해당 처리능력이 수요보다 적은 어떤 부문 혹인 자원 - 시스템 산출량을 제한하는 시스템 내부의 제약 - 기계, 부족한 노동인력, 특별한 도구 등에서 나타날 수 있음 “a facility, function, department, or resource whose capacity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demand put upon it." APICs Dictionary 12th Edition 2) 제약된 자원- 활용률이 거의 한계에 도달해 있고, 세밀하게 계획을 짜지 않으면 발생 - 제약된 자원인 작업단계는 앞선 여러 단계로부터 작업을 받을 경우, 만약 앞선 단계에서 작업량을 갑자기 많이 보내면 제약을 받는 단계..

[생산관리] 23. 일정계획 Ⅰ

1. 생산실행시스템과 작업현장관리1) 생산실행시스템 (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 실제 공장에서 작업에 대한 일정계획, 자원 및 인력할당, 진도관리, 감독 그리고 통제를 수행하는 정보시스템 - 생산 및 공정 계획을 공급사슬관리, ERP 시스템과 실시간으로 연결2) 작업현장관리의 주요 기능- 각 작업장별 작업우선 순위할당 - 재공품에 관한 정보유지관리 - 현장 주문상태 정보를 사무실로 전달 - 생산능력 관리목적을 위한 출력자료 제공 - 재공재고관리와 회계관리에 필요한 위치(지역)별, 작업주문별 수량 제공 - 노동력과 기계에 대한 효율성, 활용도, 생산성측정3) 작업장- 작업장이란 생산 활동 자원이 조직화되고 작업을 실행하여 제품을 완성하는 장소이다. - 한 대의 기계 또는 기..

[생산관리] 22. 재고관리 Ⅱ

1. 재고관리시스템재고관리시스템이란 재고수준을 관찰하여 어느 정도로 재고수준을 유지할 것인지, 언제 보충해야하는 지, 주문량을 얼마로 할 것 인지를 결정하는 일련의 정책과 통제 절차를 의미한다. 1) 재고 품목에 대한 적절한 유지 및 관리에 대한 조직 수준의 방침을 제공 - 보유 재고량, 주문 및 수령과 관련된 정보 및 재고 관련 의사결정문제 등 포함 2) 재고 관련 의사결정문제 - 재고량의 관찰 주기 : 재고량을 언제 파악할 것인가 à 연속적, 주기적 - 주문 시점 : 언제 발주할 것인가? - 주문량 : 얼마나 발주할 것인가? 3) 재고 정확성 - 재고기록의 정확성: 실제 보유량과 재고기록과의 차이, 보유량 뿐 아니라 위치도 중요 - 주기적 재고실사(Cycle Counting): 재고정확성 확보를 ..

[생산관리] 21. 재고관리 Ⅰ

1. 재고의 정의와 목적1) 재고란?• 미래에 사용하기 위해 보유하고 있는 물품 및 자원 : 원자재, 부품, 재공품(WIP), 완제품, 비품 등 • 재고관리시스템 : 재고수준을 관찰하여 재고 수준을 어느 정도로 유지해야 하는지, 언제 보충을 해야 하는지, 주문량을 얼마로 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정책 및 절차 2) 재고관리는 왜 중요한가?• 재고 보유에 따른 비용 : 미국의 경우 평균 제품 가치의 30~35%가 재고비용 • 재고 보유에 따른 운영의 효율성 : 주문 충족 속도, 작업 효율성(이용률), 구입 및 수송비용감소 ➔ Trade-off 관계 3) 재고의 목적• 작업의 독립성 유지 : 전체 프로세스 및 공정간의 독립성 유지 • 수요 변동 대비 : 안전재고 ➔ 수요의 변동이 클수록 안전재고의 양은 증가..

[생산관리] 20. 자재소요량계획 Ⅱ

1. MRP의 전개 절차1) 자재명세서 상의 0 단계의 완제품의 수요를 MPS로부터 가져옴• 주별 총 소요량(Gross Requirement) 2) 순 소요량 (Net Requirement) 계산 총 소요량, 현재재고량, 예정입고량(이미 주문한 양)등을 고려하여 순수 소요량 산출3) 순 소요량에 대한 납품 시기 결정 언제 입고되어야 하는가? ➔ 계획주문입고(Planned-Order Receipt)4) 계획주문입고 일정에 따른 주문일 결정: 언제 주문해야 하는가? ➔ 리드타임 반영 à 계획주문발주(Planned-Order Release)5) 위 1-4의 과정을 모든 0단계 품목에 적용 후 다음 단계(1단계) 품목으로 넘어감6) 1단계 품목의 총 소요량 결정 à 상위단계(0단계) 품목의 일정계획에 의해 결정..

[생산관리] 19. 자재소요량계획 Ⅰ

1. MRP의 정의와 활용1) MRP란?• 최종 완제품이 생산계획(MPS)에 따라 생산될 수 있도록 필요한 자재 및 부품의 종류, 수량, 주문 시기 등의 의사결정을 하는 것 ➔ 전산화된 생산계획 및 재고통제 시스템 ※ MRP는 종속수요(Dependent Demand) 품목을 대상으로 하며, 따라서 수량은 완제품의 수요에 의해 결정됨. 2) MRP의 활용• 다수의 생산품이 동일한 생산 설비를 이용하여 반복적으로 생산되는 경우에 가장 유용함 ➔ 조립 공정이 많은 산업에서 가장 유용 • 고도의 연구와 디자인을 요하는 고가의 제품 생산에는 효용이 떨어짐: 자재 조달 소요 기간이 길고 불확실하며 제품 생산 자체가 복잡함 ※ MRP는 중소기업을 포함한 제조업의 대부분의 기업에서 사용되고 있음 3) MRP의 기본..

[생산관리] 18. 주일정계획

1. 주일정계획 (Master Production Scheduling)의 개념과 고려사항1) MPS의 개념- 최종 완제품 (또는 중요 반제품)의 생산량 및 시기 결정 - 확정수요 및 예측수요를 대상으로 함 - 보통 주단위로 계획 : 제품 수요를 만족시키기 위해 어느 주에 얼마나 생산하여야 하나? - 총괄생산계획과 달리 특정 제품을 대상으로 함 - 총괄생산계획과 vs. MPS 예: 매트리스 생산업체2) MPS를 위한 Input 자료 3) MPS의 고려사항 (1) 계획대상기간 (Planning horizon) (2) Time Fence - MPS의 계획을 변경할 수 있는 정도를 기간 단위로 표시 : 보통 3 종류 - Frozen : 계획 변경 금지 - Moderately Firm : 부품/자재가 가용한 범위..

[생산관리] 17. 총괄계획

1. 제조업의 생산계획 및 통제 시스템1) 생산계획이란?- 수요(고객 수요)와 공급(기업의 생산)을 일치시키기 위해 필요한 생산운영시스템의 자원 소요 및 생산 활동을 계획하는 것 - 무엇을 계획하는가? - 마케팅 부서의 판매계획(Sales Plan)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 예) 연간 매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매월 판매계획을 수립, 판매계획에 따라 생산계획을 수립 ➔ 판매 및 생산계획 수립: 마케팅 부서와 생산 부서간의 밀접한 협조가 필요 2) 제조업의 주요 생산계획 시스템 • 장기계획 - 프로세스 계획 : 제품/서비스 생산을 위한 기술 및 프로세스 선택 - 전략적 생산능력계획 : 장기 생산능력을 결정 • 중기계획 - 총괄생산계획 (Aggregate Production Plan,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