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학/경영학개론

[경영학개론] 9. 경영의 발전 과정

study-mate-jennie 2021. 9. 23. 15:20
반응형

1. 역사시대와 경영

1) 고대 국가

- 피라미드의 건설, 꺄르낙 마을의 돌기둥 : 많은 인원과 노동량이 필요

- 피라미드 건설용 돌을 깨러 가던 채석단 8,800 명의 세분화된 구조

- 그리스 철학자 크세노픈의 분업 : 신발 제조를 위한 분업 강조

- 구약성경 출애굽기 : 계층조직과 권한 위임의 법칙

- 로마 군대 계층 조직 : 오늘날의 열린 경영방식과 유사한 부분이 있음.

 

2) 중세시대

- 가부장제(paternalism) : 성주는 농민들을 대가족의 부모처럼 보호해주고, 농민들은 성주에게 충성을 다하며 삼포제로 전원 경작을 .

- 종교적 경영 체제 근대적 농업경영조직

- 이탈리아 상인들이 고안한 복식부기 회계 방식

- 베네치아 공화국의 목조군함의 분업적 생산라인 방식

- 십자군 전쟁에 편승한 무역업자들의 활동으로 인한 동서교류 확대 : 산업혁명의 토대가 (본가인 영주와 풍부한 노동력을 제공한 농민들로 인해 짧은 기간 동안 공장이 생겨나고 수많 임금노동자가 탄생하게 )

 

2. 산업혁명 이후의 경영

: 산업혁명은 인류 역사에 중대한 전환점이지만 경영자의 입장에서는 아주 변화이다.

임금노동자가 생기고 이윤 단체인 근대적 공장의 출현, 복식부기제도와 상업거래가 활발했던 시기임.

 

1) 산업혁명기와

(1) 근대적 공장의 출현

 - 산업혁명은 가내수공업자들이 물품을 개씩 만들어 시장에서 교환하던 가게(shop) 경영에서 대량으로 생산하는 공장(factory)경영으로 경영시스템으로 바꾸어 놓았으며, 경영활동도 숙련 기술자 몇몇에 의존하던 것을 기계적 생산을 도와주기만 하는 미숙련공들이 담당할 있도록 바꾸어 놓았음.

 

- 규모의 경제(Economy of scale) : 보다 많은 수입 창출 가능, 작업의 효율성이 점차 커지는 결과.

 

- 농업 생산의 기계화

 

- 물류 수송의 효율화 : 생산의 증가로 인한 철도, 교량, 철선, 증기 기관차의 증가

  • 아담 스미스(A. Smith) : ‘국부론’에서 노동의 분업을 강조
  • 찰스 베비지(C. Babbage) : 기계식 컴퓨터를 최초로 개발한 인물로 평가받고 있음, 1832 ‘기계와 제조의 경제에 대하여’라는 논문에서 작업 기술의 차이에 따른 임금의 차별, 분업의 위력을 주장함.
  • 로버트 오웬(R. Owen) : 인간적 경영, 직물공장을 운영하면서 직공들의 노동조건 개선을 위해 많은 활동을 . 인간에 대한 투자가 최고의 투자임을 강조하면서, 최고노동시간의 제한, 미성년자 노동 제한, 하층민의 의무교육, 공장의 식당 운영, 기업의 사회사업 등을 제안함.

 

(2) 근대 이후 : 기업가정신의 출현

 : 기업가정신으로 무장한 사람들의 등장으로 인해 물질적 생활수준이 높아졌으며, 이들의 사업 활동으로 인하여 새로운 공산품들이 사회에 공급되기 시작함.

  • 상업성이 높은 제품의 생산과 새로운 제조 기술을 도입하여 현대적 경영의 태동에 많은 공헌을 .

 

- 휘트니(Eli Whitney) : 부품의 표준화

 

- 맥코믹(Robert McCormick) : 수확을 위한 기계 고안, 아들 C. McCormick 기계를 상품화하여 대량으로 생산함.

 

- 모건(J. P. Morgan), 카네기(Andrew Carnegie) : 새로운 사업을 위한 기업을 세움.

 

- 록펠러(Jonh D. Rockefeller) : 책방을 통해 돈으로 정유업에 투자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