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경영학/생산관리 27

[생산관리] 16. 수요관리와 예측 Ⅱ

1. 수요예측 기법의 분류1) 정성적 (Qualitative) 방법주관적이며 개인/집단의 판단/추정에 근거 • Grass Root: 계층을 따라서 하위 계층의 수요 예측 결과를 합하여 전체 수요를 예측 예) 지역별 영업 담당자의 수요 예측 결과를 합산하여 전체 수요를 예측 • 시장 조사(Market Research) : 조사, 인터뷰 등의 기법을 이용하여 시장 수요에 대한 가설을 검증, 주로 장기 수요나 신제품 수요 예측에 사용. 주로 외부 전문 조사기관 이용. • 패널 동의법 (Panel Consensus) : 다수의 전문가에 합의에 의한 결과 도출 • Delphi법 : 패널 동의법을 개선, 참가한 전문가들의 익명성 보장 - 전문가 그룹 선정 - 설문지 배포 및 결과(개인별 의견 등 포..

[생산관리] 15. 수요관리와 예측 Ⅰ

1. 독립수요와 종속수요• 종속수요 (Dependent Demand) : 다른 제품/서비스의 수요에 의해 수요가 결정되는 경우• 독립수요 (Independent Demand) : 최종 고객에 의해 수요가 결정되는 경우 예) 세발자전거의 수요가 100이면, 앞바퀴의 수요는 100, 뒷바퀴의 수요는 200 ⮕세발자전거의 수요를 결정하면 바퀴의 수요는 자동으로 결정됨. 따라서, 수요예측의 관심사는 독립 수요인 경우임. cf. 타이어를 판매하는 업체에서는 타이어가 독립수요이나 자동차 조립공장에서는 종속수요임, why? 2) 수요 관리 (Demand Management) • Active : 기업이 적극적으로 수요에 영향을 주는 활동을 하는 경우 예) 영업활동 강화, ..

[생산관리] 14. 전사적 품질관리 Ⅱ

1. 식스시그마 방법론- DMAIC 1) 식스시그마란 무엇인가? 품질의 목표를 백만에 4건 이하의 결함만 허용하는 통계적인 용어 높은 수준의 품질 수준도달을 위한 전사적 품질개선철학, 프로그램 DMAIC사이클을 통한 체계적인 프로젝트 지향적 방법론 사용 2) 측정기준 (백만 기회당 결함: DPMO) 필요 데이터 단위: 생산되거나 서비스되는 제품 및 서비스의 측정 단위 결함수: 고객의 요구에 부합하지 않는 결함의 수를 단위기준으로 표현한 것 기회: 결함이 생길 수 있는 기회 3) DMAIC (Define, Measure, Analysis, Improve, Control) 가. 정의 (Define; D) - 고객과 고객의 우선순위 파악 - 고객 니즈와 피드백은 물론 사업목표와 일치하는 식스시그마로 해결하기에..

[생산관리] 13. 전사적 품질관리 Ⅰ

1. 품질의 정의 - 올바른 일을 올바르게 하는 것 = 품질 - Quality? 고객(顧客)의 명시적, 묵시적 요구를 충족시킬 능력이 있는 특징이나 특성의 총체 고객(顧客)을 만족시키는 또는 만족시킬 수 있는 능력 누가 우리의 고객인가? 고객정의고객만족을 결정하는 요소는 무엇인가? 품질특성 - CTQ (Critical-to-Quality)? 고객(customer) ->이해관계자(Stakeholder) 고객의 핵심적인 요구사항 -> 핵심적 품질특성 2. 전사적 품질경영(Total Quality Management) 가. 정의 - 고객에게 중요한 제품과 서비스의 모든 차원을 탁월하게 하기 위해 전체조직을 경영하는 것 - 2개의 근본적 목표 1)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신중한 디자인 2) 디자인대로 일관성 있..

[생산관리] 12. 전략적 능력계획 2

1. 생산능력계획에서의 고려사항 가. 생산운영시스템의 균형 (Balance) 다단계 프로세스는 각각의 프로세스가 서로 영향을 주며 전체 프로세스의 능력은 이러한 프로세스간의 영향에 의해 결정됨 완벽하게 균형이 잡힌 프로세스는 바람직한가? 1) 여러 단계로 구성된 프로세스에서 각 단계의 최적 운영 수준은 모두 다를 수 있음 2) 변동(수요 변동, 프로세스 변동)이 발생하는 경우 완벽하게 균형이 잡힌 프로세스를 유지할수 없음. -> 따라서, 완벽하게 균형이 잡힌 프로세스의 구성은 가능하지 않으며 바람직하지도 않음. 프로세스 불균형의 해결 방안: 병목에 집중 1) 병목 공정의 생산 능력 증가: 잔업, 장비 임대, 하청 2) 병목 공정의 이용률 최대화: 병목 단계 앞에 재고를 두어 병목 공정의 최대 가동 유지 ..

[생산관리] 11. 전략적 능력계획 1

1. 생산능력(Capacity)의 개념 생산운영시스템이 정해진 시간 동안 생산할 수 있는 산출물의 총량 (예) 식당 : 정오부터 오후 1시까지(1시간 동안) 서비스 가능한 고객의 수 자동차 공장 : 1교대(8시간) 동안 생산 가능한 자동차의 수 생산 능력은 투입 자원 대비 산출물의 종류를 고려하여 결정됨 (예) 자동차 공장의 투입이 연간 10,000 labor hour인 경우 (1) 2 door car model을 생산할 경우 : 50,000 대/년 (2) 4 door car model을 생산할 경우 : 40,000 대/년 -> 따라서, 생산능력은 투입 자원 뿐 아니라 산출물의 종류 또는 믹스에 따라 달라지며, 자동차 공장의 연간 생산능력이 100,000대라고 할 경우에는 어떤 모델 또는 모델들의 믹스에..

[생산관리] 10. 제품 및 서비스 설계 프로세스 2

1. 고객지향적 설계 - 고객 입장에서의 설계 측면에 대한 이해가 필요 - 사용자들을 위한 제품 설계는 일반적으로 산업디자인의 영역 - IDEO사의 디자인씽킹 프로세스(브레인스토밍과 프로토타이핑) - 사용하는 사람의 입장에서 제품을 디자인하는 것이 중요함 가. 품질기능 전개(Quality Function Deployment) - 고객의 요구사항을 수렴하여 제품설계 단계에서부터 포함시키는 접근법 - 도요타 자동차 : 마케팅, 설계, 생산 등 Cross Functional Team을 통해 설계시간을 60% 단축 - 시장조사를 통해 제품에 대한 고객요구사항 도출 - 고객요구사항(Customer Requirements)을 품질의 집(House of Quality)로 정리하여 제품설계 및 생산의 기본 목표로 전환..

[생산관리] 9. 제품 및 서비스 설계 프로세스 1

1. 본원적 제품개발 프로세스 가. 정의 - 제품설계에 필요한 기본 단계를 설명하는 본원적 제품개발 프로세스는 기업이 제품을 착상하여 설계하고 출시하기 위해 기업이 동원한 일련의 기본적인 단계와 활동 - 물리적인 활동이 아닌 지적인 활동 - 모든 조직은 서로 다른 개발 프로세스를 가진다. 나. 본원적 제품개발 프로세스의 구성 0단계 : 계획 (Planning) - 기업의 전략에서 시작되며 기술개발 및 시장목표의 평가를 수행 1단계 : 개념개발 (Concept Development) - 목표시장의 니즈를 규명, 제품 개념 대안들을 만들고 평가하여 한두 개 개념을 선택 2단계: 시스템-수준설계 (System-Level Design) - 제품 아키텍쳐(architecture)의 정의, 제품과 부분품 및 부품의..

[생산관리] 8. 제조 프로세스 2

1. 제조 프로세스의 선택 방법 - 프로세스 선택은 제품을 생산하거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어떤 종류의 제조 프로세스를 사용하는가를 선택하는 전략적 의사결정 - 예를 들어 도시바 노트북의 경우 - 생산량이 적으면 한 작업자가 수동으로 조립할 수 있고. - 생산량이 많으면 조립라인에서 조립하는 것이 적절하다. 가. 제조 Process 선택 : 제품/프로세스 행렬 나. 제조 Process 선택 : 제품 수명주기 2. 제조 프로세스 유형별 설비배치 가. 설비배치의 정의 - 설비 배치란 공장 또는 서비스 시설 내에서 부서의 위치와 설비의 배열 결정 나. 설비배치의 유형 다. 제조 프로세스 유형과 설비배치의 관계 - 라인 공정↔ 제품별 배치 - 단속 공정↔ 공정별 배치 - 프로젝트 공정↔ 고정위치배치 라. 설비..

[생산관리] 7. 제조 프로세스 1

1. 제조 프로세스의 분류(Process Flow Structures) Continuous Process (연속 프로세스) - 매우 대량의 표준화된 제품을 끊이지 않고 연속해서 생산 - 정유, 화학, 제지, 음료, 전기 등 속성상 나눌 수 없는 것들이 대부분임 Flow Shop (조립 라인) - 대량의 표준화된 제품을 생산, 단위 제품 - 자동차 조립, 전자 제품 조립 등 Cellular Production (제조 셀) - 유사한 특징을 갖는 제품들을 셀(Cell) 단위로 묶어서 생산 Job Shop (작업장) - 다양한 종류의 제품을 소량 단위로 생산 - 공작 기계, 주문형 PCB 생산 등 Project Operations (프로젝트) - 고객 주문에 따라 규모가 큰 단일한 제품을 일정 기간 동안 생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