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경영학 193

[경제학개론] 8. 시장 공급곡선의 도출 2

Ⅰ. 비용극소화와 이윤극대화1. 경제적 이윤• 경제학자는 기업은 경제적 이윤(Economic profit)을 극대화한다고 가정하고 기업의 행동을 분석함 • 경제적 이윤 - 기업의 총수입에서 총경제적비용을 뺀 금액 - 경제적 이윤 = 총수입 − 총경제적비용 • 총수입 = 생산량 × 가격 • 총경제적비용 = 상품을 생산하는 데 드는 모든 기회비 • 기회비용은 명시적 비용과 암묵적 비용 모두 포함 - 명시적 비용: 현금이 지출되는 비용 - 묵시적 비용: 현금 지출이 수반되지 않는 비용 • 경제학자는 명시적 비용과 암묵적 비용 모두 비용으로 잡지만, 회계사들은 명시적 비용만 비용으로 잡음 - 예시 : 경제학자는 자기 자본에 대한 이자(귀속 이자)는 비용으로 잡지만 회계사는 비용으로 잡지 않음 2. 기회비용..

[경제학개론] 7. 생산자이론: 시장 공급곡선의 도출 1

Ⅰ. 생산함수1. 생산함수• 일정기간 동안 생산요소의 투입량(Input)과 산출량(Output)과의 관계를 나타낸 함수 • 유량(Flow)의 개념으로서 일정 기간 동안의 산출량과 생산요소의 양과의 관계 - 유량은 일정 기간(1일, 1개월 등)에 대해서 측정하는 변수 - 저량(貯量)이란 일정 시점(2018년 12월 31일)에 대해서 측정하는 변수 : 예시 - 소득은 유량이고, 재산은 저량 • 생산함수는 생산요소의 수량이 주어져 있을 때 기술적으로 가장 효율적인 생산기술을 이용하여 생산할 수 있는 최대 산출량 수준을 보여줌 - 생산함수는 기술적으로 가장 효율적인 기술적 효율성(Technical efficiency)을 달성한 것을 나타냄 - 경제적 효율성(Economic effi..

[생산관리] 26. 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

1. ERP 시스템의 개념과 도입목적1) ERP 시스템의 정의패키지화된 비즈니스 시스템으로서 - 비즈니스 업무의 대부분을 자동화하고 통합한다. - 전사적으로 데이터와 업무 규칙을 공유하도록 한다. - 실시간으로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2) ERP 시스템 등장 배경- ERP 이전에는 기능 영역별로 독립된 정보시스템을 사용 - 각 시스템은 서로 인터페이스 되도록 설계되지 않았다. - 정보는 종이 문서에 의해 교환 - 업무 효율성을 높이고, 효과적인 의사결정을 하기 위해 통합된 데이터처리 시스템 필요3) ERP 시스템의 발전과정 4) ERP 시스템의 도입목적 5) ERP 시스템 구축의 기대효과 2. ERP 시스템의 주요기능과 특징1) 특징- 다국적, 다통화, 다언어(GLOBAL..

[생산관리] 25. JIT / Lean 생산 Ⅰ

1. Lean 생산의 논리1) Lean 생산의 개요• 최소의 원자재, 재공품, 완제품 재고를 유지하면서 대량 생산을 달성하기 위한 통합된 활동 ➔ Just in time • 무재고 지향 : “필요하지 않은 것은 생산하지 않는다.” ➔ Pull system (모든 생산은 시장 수요로부터 시작) • 린 생산은 방법론들의 집합이 아니라 생산운영의 철학으로 볼 수 있음: 가치를 창출하지 못하는 모든 요소들(낭비)의 제거 • 린 생산은 Toyota의 JIT (Just In Time)을 확장한 개념: 린 생산의 범주에서 좁은 의미의 JIT는 생산계획/통제 방법론을 의미함. • 린 생산의 개념은 서비스업에도 적용됨 ➔ Lean Service 2) Lean 생산의 특징 2. 도요타 생산방식1) TPS의 기본 요..

[생산관리] 24. 일정계획 Ⅱ

1. 병목의 개념과 원칙1) 개념- 병목은 전체 시스템 흐름 중에서 해당 처리능력이 수요보다 적은 어떤 부문 혹인 자원 - 시스템 산출량을 제한하는 시스템 내부의 제약 - 기계, 부족한 노동인력, 특별한 도구 등에서 나타날 수 있음 “a facility, function, department, or resource whose capacity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demand put upon it." APICs Dictionary 12th Edition 2) 제약된 자원- 활용률이 거의 한계에 도달해 있고, 세밀하게 계획을 짜지 않으면 발생 - 제약된 자원인 작업단계는 앞선 여러 단계로부터 작업을 받을 경우, 만약 앞선 단계에서 작업량을 갑자기 많이 보내면 제약을 받는 단계..

[생산관리] 23. 일정계획 Ⅰ

1. 생산실행시스템과 작업현장관리1) 생산실행시스템 (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 실제 공장에서 작업에 대한 일정계획, 자원 및 인력할당, 진도관리, 감독 그리고 통제를 수행하는 정보시스템 - 생산 및 공정 계획을 공급사슬관리, ERP 시스템과 실시간으로 연결2) 작업현장관리의 주요 기능- 각 작업장별 작업우선 순위할당 - 재공품에 관한 정보유지관리 - 현장 주문상태 정보를 사무실로 전달 - 생산능력 관리목적을 위한 출력자료 제공 - 재공재고관리와 회계관리에 필요한 위치(지역)별, 작업주문별 수량 제공 - 노동력과 기계에 대한 효율성, 활용도, 생산성측정3) 작업장- 작업장이란 생산 활동 자원이 조직화되고 작업을 실행하여 제품을 완성하는 장소이다. - 한 대의 기계 또는 기..

[생산관리] 22. 재고관리 Ⅱ

1. 재고관리시스템재고관리시스템이란 재고수준을 관찰하여 어느 정도로 재고수준을 유지할 것인지, 언제 보충해야하는 지, 주문량을 얼마로 할 것 인지를 결정하는 일련의 정책과 통제 절차를 의미한다. 1) 재고 품목에 대한 적절한 유지 및 관리에 대한 조직 수준의 방침을 제공 - 보유 재고량, 주문 및 수령과 관련된 정보 및 재고 관련 의사결정문제 등 포함 2) 재고 관련 의사결정문제 - 재고량의 관찰 주기 : 재고량을 언제 파악할 것인가 à 연속적, 주기적 - 주문 시점 : 언제 발주할 것인가? - 주문량 : 얼마나 발주할 것인가? 3) 재고 정확성 - 재고기록의 정확성: 실제 보유량과 재고기록과의 차이, 보유량 뿐 아니라 위치도 중요 - 주기적 재고실사(Cycle Counting): 재고정확성 확보를 ..

[생산관리] 21. 재고관리 Ⅰ

1. 재고의 정의와 목적1) 재고란?• 미래에 사용하기 위해 보유하고 있는 물품 및 자원 : 원자재, 부품, 재공품(WIP), 완제품, 비품 등 • 재고관리시스템 : 재고수준을 관찰하여 재고 수준을 어느 정도로 유지해야 하는지, 언제 보충을 해야 하는지, 주문량을 얼마로 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정책 및 절차 2) 재고관리는 왜 중요한가?• 재고 보유에 따른 비용 : 미국의 경우 평균 제품 가치의 30~35%가 재고비용 • 재고 보유에 따른 운영의 효율성 : 주문 충족 속도, 작업 효율성(이용률), 구입 및 수송비용감소 ➔ Trade-off 관계 3) 재고의 목적• 작업의 독립성 유지 : 전체 프로세스 및 공정간의 독립성 유지 • 수요 변동 대비 : 안전재고 ➔ 수요의 변동이 클수록 안전재고의 양은 증가..

[생산관리] 20. 자재소요량계획 Ⅱ

1. MRP의 전개 절차1) 자재명세서 상의 0 단계의 완제품의 수요를 MPS로부터 가져옴• 주별 총 소요량(Gross Requirement) 2) 순 소요량 (Net Requirement) 계산 총 소요량, 현재재고량, 예정입고량(이미 주문한 양)등을 고려하여 순수 소요량 산출3) 순 소요량에 대한 납품 시기 결정 언제 입고되어야 하는가? ➔ 계획주문입고(Planned-Order Receipt)4) 계획주문입고 일정에 따른 주문일 결정: 언제 주문해야 하는가? ➔ 리드타임 반영 à 계획주문발주(Planned-Order Release)5) 위 1-4의 과정을 모든 0단계 품목에 적용 후 다음 단계(1단계) 품목으로 넘어감6) 1단계 품목의 총 소요량 결정 à 상위단계(0단계) 품목의 일정계획에 의해 결정..

[생산관리] 19. 자재소요량계획 Ⅰ

1. MRP의 정의와 활용1) MRP란?• 최종 완제품이 생산계획(MPS)에 따라 생산될 수 있도록 필요한 자재 및 부품의 종류, 수량, 주문 시기 등의 의사결정을 하는 것 ➔ 전산화된 생산계획 및 재고통제 시스템 ※ MRP는 종속수요(Dependent Demand) 품목을 대상으로 하며, 따라서 수량은 완제품의 수요에 의해 결정됨. 2) MRP의 활용• 다수의 생산품이 동일한 생산 설비를 이용하여 반복적으로 생산되는 경우에 가장 유용함 ➔ 조립 공정이 많은 산업에서 가장 유용 • 고도의 연구와 디자인을 요하는 고가의 제품 생산에는 효용이 떨어짐: 자재 조달 소요 기간이 길고 불확실하며 제품 생산 자체가 복잡함 ※ MRP는 중소기업을 포함한 제조업의 대부분의 기업에서 사용되고 있음 3) MRP의 기본..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