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비용극소화와 이윤극대화
1. 경제적 이윤
• 경제학자는 기업은 경제적 이윤(Economic profit)을 극대화한다고 가정하고 기업의 행동을 분석함
• 경제적 이윤
- 기업의 총수입에서 총경제적비용을 뺀 금액
- 경제적 이윤 = 총수입 − 총경제적비용
• 총수입 = 생산량 × 가격
• 총경제적비용 = 상품을 생산하는 데 드는 모든 기회비
• 기회비용은 명시적 비용과 암묵적 비용 모두 포함
- 명시적 비용: 현금이 지출되는 비용
- 묵시적 비용: 현금 지출이 수반되지 않는 비용
• 경제학자는 명시적 비용과 암묵적 비용 모두 비용으로 잡지만, 회계사들은 명시적 비용만 비용으로 잡음
- 예시
: 경제학자는 자기 자본에 대한 이자(귀속 이자)는 비용으로 잡지만 회계사는 비용으로 잡지 않음
2. 기회비용으로서의 자본비용
• 제과점 주인이 자기 돈 1억 원, 은행에서 5%의 이자율로 빌려서 2억 원을 빌려서 과장공장을 인수했다고 가정
- 회계사: 2억 원에 대한 이자 1,000만 원만을 비용으로 처리
- 경제학자: 3억 원에 대한 이자비용 1,500만 원을 비용으로 계산
: 자기자본에 대한 이자(Imputed interest, 귀속이자)도 기회비용이기 때문임
3. 이윤극대화를 위한 기업의 행동 준칙
1) 이윤극대화 조건
• 기업은 경제적 이윤을 극대화하는 공급량을 결정함
• 수학적 부호로 표시
(1) 한계수입과 한계비용이 일치하는 산출량 수준(q)에서 이윤을 극대화할 수 있음
• MR(q※ ) = MC(q※ )
- 한계수입(Marginal revenue): 공급자가 한 단위를 추가 판매함으로써 발생하는 총수입의변화
- 한계비용(Marginal cost): 공급자가 한 단위를 추가 생산할 때 발생하는 총비용의 변화
> 수학적으로 이윤극대화를 위한 제1계 필요조건
• 직관적 설명
- 한계비용곡선이 산출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상황
: 첫째, 만약 q※ 에서 ‘한계수입 > 한계비용’이면 산출량 q※ 는 이윤을 극대화시키는 산출량 수준이 아님
> 왜냐하면 산출량을 증가시키면 이윤을 증가시킬 수 있음
> 현재의 상태가 이윤극대화점이 아님
: 둘째, 만약 q※ 에서 ‘한계수입 < 한계비용’이면 산출량 q※ 는 이윤을 극대화시키는 산출량 수준이 아님
> 왜냐하면 산출량을 감소시키면 이윤을 증가시킬 수 있음
> 현재의 상태가 이윤극대화점이 아님
> q※ 가 이윤을 극대화시키는 산출량이 되기 위해서는 MR(q※ ) = MC(q※ )이 되어야 함
(2) q※ 에서 한계수입 곡선의 기울기가 한계비용곡선의 기울기보다 작아야 함• 직관적 설명
- 수학적으로 이윤극대화를 위한 제2계 필요조건
2) 조업 중단조건
• 단기에 있어서 고정비용은 매몰비용임
• 기업이 생산을 일시 중단한다고 해서 고정비용을 피할 수는 없음
• 매몰비용(Sunk cost)
- 한 번 지불하면 회수할 수 없는 비용
• 수입이 총비용이 아니라 가변비용보다 크면 영업을 계속해야 함
• 기업은 단기에서 총수입이 총가변비용에 미달하는 경우에는 조업을 중단하여야 함
• 조업중단
- 시장 상황이 악화되어 일시적으로 아무 것도 생산하지 않는 단기적 의사결정
• TR < VC
- 조업 중단(Shutdown) 조건
• 양변을 q로 나누면
• AR < AVC
- 조업 중단(Shutdown)
Ⅱ. 개별공급곡선의 도출
1. 개별 공급곡선의 정의
• 개별 공급곡선
- 주어진 가격에 대하여 개별 기업이 공급하고자 하는 수량
- 공급곡선은 가격수용자인 기업에게만 적용되는 정의
- 경쟁기업이 아닌 기업, 예를 들면 독점기업은 가격수용자가 아니기 때문에 공급곡선이 존재하지않음
: 독점기업은 주어진 가격을 그대로 받아들이면서 이윤을 극대화하지 않고, 독점기업 자체가 가격과 수량을 동시에 결정함
2. 단기 개별공급곡선
1) 한계비용곡선과 공급량의 결정
• 경쟁기업의 이윤극대화 가정으로부터 공급곡선을 도출
• 경쟁시장의 개별기업은 가격수용자이기 때문에 개별기업의 총수입은 TR = P × q임
• 경쟁시장의 기업에게 한계수입과 평균수입은 가격과 같음
- MR = AR = P
• 경쟁기업은 가격과 한계비용이 일치하는 생산량(q*)에서 이윤이 극대화 됨
2) 개별기업의 공급곡선
• 가격이 변하면 P = MC인 생산량은 한계비용곡선을 따라 변함
• 가격이 P이면 생산량은 q이고, 가격이 P이면 생산량은 q로 변함
• 평균수입이 평균가변비용보다는 커야 하므로 가격이 평균가변비용보다 커야 함
• 경쟁기업의 단기 공급곡선은 P > AVC인 조건을 만족하는 한계비용곡선임
3. 장기 개별공급곡선
1) 개별기업의 장기 퇴출조건
• 기업은 장기에는 퇴출도 하나의 전략이 될 수 있음
• 기업이 시장에서 퇴출하면 고정비용과 가변비용 모두 지출하지 않음
• 기업은 총수입이 총비용보다 작으면 시장에서 퇴출함
- TR < TC
: 양변을 q로 나누면
• 평균수입(AR: Average revenue)이 평균총비용(ATC)보다 적으면 퇴출함
• 그런데, 완전경쟁기업의 평균수입은 가격과 같으므로 P < ATC이면 퇴출
2) 개별기업의 장기 공급곡선
• 개별기업의 장기공급곡선은 가격이 평균총비용(ATC)보다 큰 경우의 한계비용곡선
Ⅲ. 시장공급곡선의 도출
1. 경쟁시장의 단기 공급곡선
• 단기적으로 시장에 있는 기업의 수가 고정되었다면 시장 공급곡선은 개별 기업의 공급곡선을 횡으로 합하여 구할 수 있음
• 시장이 동일한 1,000개의 기업으로 구성되었다면 시장 공급량은 개별공급량의 1,000배임
2. 경쟁시장의 장기 공급곡선
• 가정 <잠재적 기업을 포함한 모든 기업의 비용 조건이 동일함>
- 모든 잠재적 기업을 포함한 모든 기업이 동일한 생산기술을 보유하고 있고 동일한 생산요소시장에서 생산요소를 구입하고 있음
: 기존 기업의 이윤이 양인 경우 잠재적 경쟁기업이 진입할 것이고 시장에 존재하는 기업의 수가 증가할 것이고 시장 공급량이 증가할 것임
: 기존 기업이 손실을 보는 경우에는 기존 기업이 퇴출할 것이고 시장공급량은 감소하고 손실은 사라질 것임
: 장기적으로 기업은 경제적 이윤이 0이 될 때까지 진입과 퇴출을 반복함
: 따라서 장기적으로 가격이 평균총비용의 최소값과 같아짐
: 이 가격에서 모든 수요가 충족될 때까지 기업의 수가 조정
> 장기 공급곡선은 이 가격에서 수평인 직선임
> 따라서 P = MC = ATC에서 생산이 이루어짐
(MC와 ATC가 같아지는 것은 ATC가 최소가 되는 점에서만 가능)
> 진입과 퇴출이 자유로운 장기에서는 모든 기업이 가장 효율적인 규모(Efficient scale)로 생산함
3. 현실적인 시장의 장기공급곡선
※ 현실적으로는 시장의 장기공급곡선이 우상향하는 요인이 존재함
1) 생산과정에서 생산요소의 시장이 한정된 경우
• 예시
- 누구나 땅을 사서 농사를 지을 수 있지만 토지의 공급에는 한계가 있음
- 농업 인구가 증가하면 토지 가격은 상승하고 농업 생산 비용을 증가시켜 농산물 가격을 상승시킴
- 농업에 대한 진입이 자유로워도 장기 공급곡선은 우상향함
2) 시장에 있는 기업들이 비용조건이 다른 경우
• 시장에 있는 기업들의 비용조건이 다르다면 일부 기업들은 장기적으로 이윤을 누릴 수 있음
• 이런 경우 시장가격은 한계기업(Marginal firm)의 평균총비용을 나타냄
- 한계기업
: 시장 가격이 지금보다 낮아지면 퇴출해야 하는 기업
• 한계기업의 이윤은 0이지만 이보다 비용수준이 낮은 기업은 0보다 큰 이윤을 얻음
• 고비용 잠재기업은 시장 가격이 상승하여 그들도 이윤을 낼 수 있을 때에는 진입할 것임
• 장기 시장 공급곡선이 우상향함
'경영학 > 경제학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학개론] 10. 독점시장과 그 외 불완전경쟁시장 (0) | 2025.04.23 |
---|---|
[경제학개론] 9. 완전경쟁시장 (0) | 2025.04.23 |
[경제학개론] 7. 생산자이론: 시장 공급곡선의 도출 1 (0) | 2025.04.23 |
[경제학개론] 6. 소비자 이론: 시장 수요곡선의 도출(2) (0) | 2023.06.29 |
[경제학개론] 5. 소비자 이론: 시장 수요곡선의 도출(1) (0) | 2023.06.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