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재고관리시스템
재고관리시스템이란 재고수준을 관찰하여 어느 정도로 재고수준을 유지할 것인지, 언제 보충해야하는 지, 주문량을 얼마로 할 것 인지를 결정하는 일련의 정책과 통제 절차를 의미한다.
1) 재고 품목에 대한 적절한 유지 및 관리에 대한 조직 수준의 방침을 제공
- 보유 재고량, 주문 및 수령과 관련된 정보 및 재고 관련 의사결정문제 등 포함
2) 재고 관련 의사결정문제
- 재고량의 관찰 주기 : 재고량을 언제 파악할 것인가 à 연속적, 주기적
- 주문 시점 : 언제 발주할 것인가?
- 주문량 : 얼마나 발주할 것인가?
3) 재고 정확성
- 재고기록의 정확성: 실제 보유량과 재고기록과의 차이, 보유량 뿐 아니라 위치도 중요
- 주기적 재고실사(Cycle Counting): 재고정확성 확보를 위한 정기적인 재고 수준 파악
Q1. 재고정확성이 떨어지는 이유(즉, 실제 보유량과 재고기록이 차이가 나는 이유)는 무엇일까?
Q2. 왜 Wal-Mart 등의 업체는 RFID 기술을 공격적으로 도입하려는 것일까?
2. 단일기간 재고시스템과 연속기간 재고시스템
1) 단일기간 재고시스템
(1) 단일기간 재고모델 (Single Period Inventory Model)
- 1회성 주문에 적용 : 사용기간이 제한적인 경우
- 판매기회 상실에 따른 손실과 재고발생에 의한 손실 간의 Trade-off를 찾음
예) 패션 용품, 신선 식품 등 부패되는 상품, 신문, 이벤트성 상품, 리드 타임이 매우 긴 상품 등
➔ News vendor Problem : 신문판매원은 신문을 몇 부나 주문하여야 하는가?
(2) 단일기간 재고모델의 해법
• 1회 주문이므로 주문비용 등은 영향을 미치지 않음
• 수요와 공급의 불일치에 따른 비용 요소를 고려해야 함 ➔ Trade-off 관계
- 과다 주문에 따른 비용: 실제 수요보다 많이 주문할 경우
- 과소 주문에 따른 비용: 실제 수요보다 적게 주문할 경우
• 한계비용분석에 의한 해법
- 수요에 대한 확률 분포를 안다고 가정: 확률분포 또는 시나리오
- 1단위를 추가로 보유할 경우의 비용 대비 이익을 분석
- 추가보유에 따른 이익이 비용을 초과하는 한 주문량을 계속 늘임 (비용이 이익을 초과하는 지점 직전까지)
(3) 단일기간 재고모델에서 최적주문량의 결정 (한계분석)
Cu : 한계 이익 (marginal profit) : 추가 단위가 팔릴 경우 얻을 수 있는 이익
Cu = 한계수익-한계비용 (수요 > 공급)
Co : 한계 손실 (marginal loss) : 추가 단위가 팔리지 않았을 때 발생하는 손실
Co =한계비용-잔존가치+처분비용
➔ 많이 주문하였을 경우의 단위당 손실(수요 < 공급)
2) 연속기간 재고모델(Multi-period Inventory Model)
(1) 재고수준 관찰 방법에 따른 분류
- Continuous Review: 재고수준을 계속 관찰 à Q 시스템
- Periodic Review: 일정한 주기로 재고수준을 파악 à P 시스템
(2) Q 시스템 vs. P 시스템
- Q 시스템 : 주문량(Q) 고정, 발주시기 변경 (재고 수준이 재주문점 이하일 경우 발주)
- P 시스템 : 발주시기(P) 고정, 주문량 변경 (목표 재고 수준에 맞춰 주문량 결정)
➔ ‘언제’, ‘얼마나’ 주문할 것인가에 대해 하나를 고정하고 다른 하나를 변경
3. 경제적 주문량(Economic Order Quantity)
1) Q 모형 : EOQ
(1) 가정
가. 단위 시간당 수요는 일정함
나. 일정한 리드타임
다. 일정한 상품 단위 가격
라. 일정한 주문(생산준비) 비용
마. 재고비용 = 평균재고 * 단위 재고 비용
바. 모든 수요는 충족시킴(추후 납품이 허용되지 않음)
cf. 위의 가정은 비현실적인 것들이 많으므로 적용 시 주의
(2) 기본적인 고정주문량모형과 재주문 시점
(3) 비용을 최소로 하는 주문량은?
(4)고정주문량 모형(EOQ)
(5) EOQ 수식의 도출
(6)EOQ 예제
2) P모형 (고정기간 재고모형)
• 발주시점 고정 : T 주기로 발주 (예 : 1일마다, 1주일마다)
• 주기적으로 재고 수준을 조사하므로 재고부족은 언제나 발생 가능함
cf. Q 모형에서는 재고부족은 리드타임 기간에만 발생함.
• 따라서, 필요한 안전재고의 수준이 Q모형보다 많아짐
• 주문량의 결정
- 발주 시점에 주문을 내면 ‘주문량+현재 재고 보유량’으로 다음 주문이 도착하는 시간 (T+L)까지의 수요를 만족시켜야 함
- 따라서, 주문량 = (T+L) 기간 동안의 평균수요 + (T+L) 기간 동안의 안전재고 – 현재보유중인 재고(현재 발주 중인 물량 포함)
P 모형(고정기간 재고모형) 예제
일일 수요 = 10개, 재고조사주기(T) = 30일, 리드타임(L) = 14일
안전재고 = 41, 재고조사 시점의 재고보유량 = 150
(T+L) 기간의 평균수요 = (T+L)*10 = 440
주문량 = 440 + 41 – 150 = 331
4. ABC 재고관리
• 모든 품목이 똑같이 중요한 것은 아니다 ➔ 전체 품목 중 소수의 품목이 큰 비중(화폐가치)을차지함
• 전체 품목을 세 종류로 분류
cf. 품목의 화폐가치 뿐 아니라 중요도도 고려하여야 함, 예를 들어 화폐가치는 낮으나 부족할경우 큰 손실이 발생하는 품목은 A 또는 B로 분류
'경영학 > 생산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산관리] 24. 일정계획 Ⅱ (0) | 2025.04.23 |
---|---|
[생산관리] 23. 일정계획 Ⅰ (0) | 2025.04.23 |
[생산관리] 21. 재고관리 Ⅰ (0) | 2025.04.23 |
[생산관리] 20. 자재소요량계획 Ⅱ (0) | 2025.04.23 |
[생산관리] 19. 자재소요량계획 Ⅰ (0) | 2025.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