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학/생산관리

[생산관리] 21. 재고관리 Ⅰ

study-mate-jennie 2025. 4. 23. 11:43
반응형

1. 재고의 정의와 목적

1) 재고란?

• 미래에 사용하기 위해 보유하고 있는 물품 및 자원 : 원자재, 부품, 재공품(WIP), 완제품, 비품 등
• 재고관리시스템 : 재고수준을 관찰하여 재고 수준을 어느 정도로 유지해야 하는지, 언제 보충을 해야 하는지, 주문량을 얼마로 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정책 및 절차

 

2) 재고관리는 왜 중요한가?

• 재고 보유에 따른 비용 : 미국의 경우 평균 제품 가치의 30~35%가 재고비용
• 재고 보유에 따른 운영의 효율성 : 주문 충족 속도, 작업 효율성(이용률), 구입 및 수송비용감소 Trade-off 관계

 

3) 재고의 목적

• 작업의 독립성 유지 : 전체 프로세스 및 공정간의 독립성 유지
• 수요 변동 대비 : 안전재고 수요의 변동이 클수록 안전재고의 양은 증가함
• 작업 일정의 유연성 : 완제품 재고 보유에 따른 작업 일정의 유연성 확보
• 원자재 조달의 안정성 확보 : 원자재 수급 상황 변동 및 납기 지연에 따른 안정성 확보
• 비용 절감 : 고정비용(주문 처리 비용) 감소 주문 횟수 감소

 

2. 재고관련비용

1) 재고유지비용 : 재고를 보유함으로써 발생하는 비용
    ➔ 보관설비비용, 취급비용, 보험, 손괴 및 파손, 진부화, 세금 및 자본의 기회 비용 등

 

2) 생산준비비용 (Setup Cost) : 생산 품목 변경에 따른 고정비용
    ➔ 생산준비비용이 커지면 1회 생산량을 늘려야 비용 측면에서 경제적임
    ➔ 재고비용 증가, 따라서 Setup Cost의 감소가 매우 중요함

 

3) 주문비용 : 주문 처리에 따른 비용 주문서류 작성, 수송비용 등

 

4) 품절에 따른 비용 : 재고 부족에 따라 발생하는 납품 지연, 판매기회 손실 등에 따른 비용
   ※ 생산준비비용, 주문비용, 품절에 따른 비용이 크다면? 재고량을 늘려야 하는 요인

        재고유지비용이 크다면? 재고량을 줄이고 자주 주문하는 것이 유리

 

3. 재고의 종류

1) 생산 단계에 따른 분류 : 원자재, 구매부품, 재공품, 완제품
2) 목적에 따른 분류
- 주기재고 (Cycle Inventory) : Cycle(생산 사이클, 주문 사이클)에 따른 재고량의 변화
   ➔ 만일 1회 생산량(Lot size)이 L이면 재고수준은 0에서 L로 증가: 평균재고 = L/2

 

- 안전재고 (Safety Stock) : 불확실성(수요변동, 공급불확실성 : 리드 타임 변화 등) 대비보유 재고

 

- 예상재고 (Anticipation Inventory) : 특정 이벤트 발생에 대비한 재고
   ➔ 파업, 계절적 요인에 의한 수요 증가

 

- 수송재고 : 운송 중인 재고 (발주하였으나 아직 도착하지 않은 물량, Lead Time에 비례)
   ※ 재고의 목적에 따라 재고량 감소를 위한 방법이 다름
        예) 주기재고를 줄이려면 단위 생산량(주문량)을 줄여야 함. 따라서 생산준비비용, 주문비용을 줄여야 함.

 

Q. 안전재고, 예상재고, 수송재고를 줄이려면?

 

4. 재고관련 이슈

1) 재고량과 서비스 수준
- 서비스 수준 : 수요 충족의 정도 (고객이 원하는 상품을 원하는 시간에 공급할 수 있는가?)
- 일반적으로 서비스 수준을 높이려면 재고량도 증가함
- 그러나 높은 서비스 수준을 유지하면서 재고량을 낮출 수 있는 방법도 존재함

 

2) 수요예측의 정확도와 재고량
- 수요예측의 정확도가 떨어질수록 동일한 서비스 수준을 만족하기 위해 필요한 재고량은 증가
- 따라서 서비스 수준을 유지하면서 재고 비용을 낮추려면 수요 예측의 정확도를 높여야 함

 

3) 수요가 확실한 경우에도 재고가 필요한가?
- Lead Time, 고정비용(주문비용, setup cost)

 

4) 재고량과 배송비용
- 일반적으로 재고량을 줄이려면 1회 주문량을 줄여야 함 à 따라서 배송 횟수가 증가함 소량으로 자주 배송하므로 배송 비용 증가
※ 재고 정책은 기업의 서비스 수준, 공급사슬 전체에 영향을 주는 요소이므로 단독으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관련된 모든 요소를 고려해야 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