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학/경제학개론

[경제학개론] 9. 완전경쟁시장

study-mate-jennie 2025. 4. 23. 12:54
반응형

Ⅰ. 시장과 경쟁

1. 시장의 경쟁

• 이 세상에 존재하는 시장은 무척 다양함
- 예시
: 철도 서비스나 전기가 거래되는 시장처럼 거의 독점화되어 있는 시장이 있음
: 쌀이나 사과가 거래되는 시장처럼 공급자 사이의 경쟁이 치열한 시장도 있음

 

• 개별 공급자나 수요자가 시장 규모에 비해 매우 작기 때문에 시장 가격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시장을 경쟁적이라 함

 

• 반대로 개별 기업이 시장가격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면 그 기업은 시장지배력(Market power)이 있다고 말함

 

• 완전경쟁(Perfect competition)
- 개별 기업이 상품시장과 생산요소시장에서 가격수용자(Price taker)이면 완전경쟁이 존재한다고
정의
: 완전경쟁기업은 가격수용자(Price taker)

 

• 하나의 완전경쟁 기업
- 상품시장에서 상품가격에 영향을 미치지 못함
- 생산요소시장에서 생산요소 가격에 영향을 미치지 못함

 

2. 상품시장에서의 경쟁

• 상품시장에서 개별기업은 완전히 탄력적인 수요곡선에 직면하므로 가격수용자임
- 상품시장에서 완전경쟁기업이 직면한 수요곡선
: 하나의 완전경쟁기업은 공급을 S1에서 S2로 줄일 수 있지만, 가격을 변경할 수는 없음

 

3. 상품에 대한 시장수요곡선과 개별기업이 직면한 수요곡선

• 경쟁시장에서 시장수요곡선은 우하향 하지만 하나의 기업이 직면한 수요곡선은 수평임
- 개별기업의 상품에 대한 잔존수요(Residual demand)의 개념으로 설명할 수 있음
: 잔존수요(Residual demand)
> 시장수요(Market demand)에서 다른 기업이 제공하는 공급을 뺀 것으로서 고려하고 있는 기업의 상품에 대한 수요

 

- 잔존수요 식

 

- 예시
: 시장의 수요의 가격탄력성을 -1 공급의 탄력성을 1이라고 가정하고, 동일한 기업이 100개 있다고 하면 고려하고 있는 기업 i의 잔존수요(Residual Demand)에 대한 가격 탄력성
> εi = –100×1 - (1×99) = -199

 

: 시장수요와 공급의 가격탄력성을 1이라고 가정하여도 개별기업 i에 대한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199로 급격히 증가

 

: 기업수가 커질수록 개별기업이 직면하고 있는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빠른 속도로 증가함(→ ∞ )

 

: 기업의 수가 무한대로 증가하면 기업이 직면하고 있는 수요곡선의 가격탄력성은 무한대이고 수평임

 

4. 생산요소에 대한 시장공급곡선과 하나의 기업이 직면한 공급곡선

• 경쟁시장에서 시장공급곡선
- 우상향하지만 개별기업이 직면한 공급곡선은 수평

 

• 노동시장에서 시장공급곡선
- 우상향하지만, 하나의 기업이 직면한 노동공급곡선은 수평임

 

• 생산요소시장에서 완전경쟁기업이 직면한 노동의 공급곡선
- 개별기업은 노동수요를 d1에서 d2로 줄일 수 있지만, 임금을 낮출 수는 없음

 

Ⅱ. 시장형태의 분류

1. 시장형태

• 시장형태는 공급자 수와 수요자의 수가 무한히 많아 무한 경쟁인 완전경쟁시장과 공급자가 하나인독점시장의 중간에 여러 가지 형태의 시장구조(Market structure)가 존재
- 경쟁의 스펙트럼

 

2. 상품시장의 분류

• 다양한 형태의 상품시장이 존재한다고 해서 개별적인 시장을 하나씩 따로 떼어 분석의 대상으로 삼을 수는 없음
• 경제학자들은 시장의 성격을 체계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비슷한 성격을 가졌다고 생각되는 시장들을 한데 묶어 분류
- 완전경쟁 시장(Market for perfect competition)
- 독점(Monopoly)
- 과점(Oligopoly)
- 독점적 경쟁 시장(Market for monopolistic competition)

 

3. 분류기준

1) 판매자수
• 시장에 존재하는 공급자의 숫자는 시장형태를 구분하는 중요한 요소
• 시장형태를 구분할 때 구매자의 숫자는 충분히 크다고 전제하는 것이 일반적임
• 완전경쟁시장은 다수의 판매자가 존재하면, 그 반대의 극단에 있는 독점 시장에는 단 1개의 판매자가 존재함
• 과점시장에는 소수의 판매자가 존재하므로 완전경쟁시장과 독점의 중간 위치에 존재함
• 독점적 경쟁시장도 판매자의 숫자가 많다는 점에서는 완전경쟁시장과 동일함

 

2) 개별기업이 가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능력
• 완전경쟁시장
- 많은 수의 공급자가 상품을 공급하기 때문에 개별기업이 가격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은 없음
   : 한 기업이 가격을 올리면 그 기업은 소비자들을 모두 경쟁기업에 뺏김

 

• 독점 기업은 가격에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음

 

• 독점기업이라도 가격을 마음대로 올릴 수는 없음
- 독점기업도 가격을 너무 올리면 수요가 줄어듦
   : 과점시장과 독점적 경쟁 시장의 기업은 이 두 극단의 중간 정도로 가격에 영향을 미침

 

3) 상품의 동질성 여부
• 완전경쟁시장의 성립되기 위해서는 거래되는 상품이 동질적이어야 함
- 독점적 경쟁시장
   : 같은 상품이더라도 ‘어떤 기업이 만들었느냐’에 따라 상품의 차별화(Product differentiation)가된 시장
- 과점시장
   : 모든 상품이 동질적인 경우도 있고, 조금씩 다른 경우도 있음

 

4) 진입장벽의 존재
• 완전경쟁시장이 되기 위해서는 일체의 진입장벽이 존재하지 않아야 함
• 독점적 경쟁시장도 진입장벽이 존재하지 않은 것이 일반적임
• 독점 시장에는 진입의 기회가 봉쇄되어 있음
   - 진입장벽이 없다면 독점시장은 정의상 존재하지 않음
• 과점 시장도 진입장벽이 상당한 정도로 있음
   - 어느 정도의 진입 장벽이 없다면 소수의 기업이 과점 체제를 유지하기 힘듦

 

Ⅲ. 완전경쟁시장 모형

1. 완전경쟁시장의 성립 조건

1) 상품은 동질적(Homogeneous)이어야 함
• 생산기업에 따라 상표선호(Brand preference)이 시장에서 거래되는 상품이 동일해야 함

 

2) 수많은 수요자와 공급자가 존재함
• 수많은 수요자와 공급자가 존재하여 가격수용자이어야 함
• 개별수요자나 공급자가 가격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여야 함

 

3) 완전한 정보(Perfect information)가 존재하여야 함
• 모든 판매자가 가격을 포함한 시장에 관한 모든 정보를 알고 있어야 함
   - 만약, 어느 개별공급자가 상품 생산에 더 좋은 방법을 알고 있다면 그 기업은 상품 가격에영향을 미칠 수 있음
• 모든 구매자가 모든 판매자들이 제시하고 있는 가격을 알고 있어야 함
   - 만약 그렇지 않다면 어떤 공급자는 시장가격보다 높은 가격을 받을 수 있음

 

4) 진입과 탈퇴가 자유로워야 함

• 완전경쟁시장에서 시장수요곡선과 시장공급곡선이 교차하는 E점에서 균형이 이루어짐
• 균형가격 P*에서 균형량 Q*만큼 생산되어 거래됨으로써 균형에 이름

• 이렇게 시장에서 균형이 이루어졌을 때 개별기업은 q*를 생산하여 이윤을 극대화함
• 개별기업의 이윤극대화 조건
- 한계수입 = 한계비용
• 완전경쟁기업의 한계수입은 가격과 같음
• 단기에서 개별기업은 양(+)의 이윤을 얻을 수 있음

 

3. 완전경쟁시장의 장기균형

• 시장 안의 모든 기업들이 0의 이윤만을 얻고 있어 더 이상의 진입이나 탈퇴가 일어나지 않는 상태
• 장기균형 성립을 위한 조건
- 이윤극대화 : P = LMC
- 이윤 = 0 : P = LAC
- 수요량 = 공급량


4. 완전경쟁시장의 후생경제학적 의미

• 시장공급곡선은 한계비용곡선이므로 외부효과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사회적 한계비용곡선임
• 시장수요곡선은 소비자의 한계편익곡선이므로 외부효과가 없다면 사회적 한계편익곡선임
• 완전경쟁시장은 사회적 한계편익과 사회적 한계비용이 일치하는 효율적 수준의 산출량을 생산함

 

5. 완전경쟁 조건과 현실

• 완전경쟁 시장의 기본 가정은 너무 강하여 현실에서는 존재하지 않음
• 현실에서 대부분의 기업은 가격을 결정함
• 완전경쟁시장 모형
- 현실의 시장을 분석하는 기준점이 됨
• 시장의 수요공급 모형
- 완전경쟁을 가정하고 있는 모형
• 수요와 공급 모형
- 시장의 힘(Market forces)이 가격을 결정함
• 공급자와 수요자는 가격에 반응하는 가격수용자임
• 현실의 시장이 완전경쟁시장의 모든 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하여도 수요와 공급 모형은 시장의 중요한 현상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