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학/경제학개론

[경제학개론] 11. 후생경제학

study-mate-jennie 2025. 4. 24. 20:55
반응형

Ⅰ. 소비자 잉여

1. 수요곡선의 2가지 해석

1) 수요함수로 해석
• 독립변수인 재화의 가격에 따라 종속변수인 소비자들의 사고자 하는 수요량을 나타냄

 

2) 마샬적 해석(Marshallian interpretation)
• 각각의 수요량에서 소비자가 기꺼이 지불하고자 하는 금액, 즉 소비자가 부여하는 가치를 나타내는곡선
- 수요곡선을 지불용의 곡선(Willingness to pay curve)이라고 해석할 수 있음
• 한계편익곡선(Marginal benefit curve)
- 수요량이 한 단위 증가함에 따라 소비자에게 추가되는 편익

 

2. 소비자 잉여

1) 개별소비자의 소비자 잉여(Consumer surplus: CS)
• 개별 수요곡선에서 도출할 수 있음
- 지불용의 금액에서 실제로 지불한 금액을 뺀 나머지 금액
• 소비자 잉여의 변화는 소비자의 경제적 후생(Social welfare)의 변화를 의미함
• 수요곡선은 서수적 개념인 효용을 극대화한다는 가정으로부터 도출함
• 소비자 잉여는 이러한 서수적 개념(Ordinal)을 기수적(Cardinal) 개념인 화폐가치로 변환함
• 사과에 대한 개별 수요곡선에서 1,500원에서 거래가 이루어졌을 경우

 

- 첫 번째 사과에 대한 기꺼이 지불하고자 하는 금액은 2,000원이고, 5번째 단위의 사과에 대한 지불용의 금액은 1,500원임
- 소비자가 5개의 사과를 1,500원을 지불하고 구입했을 경우의 첫 번째 단위의 소비자 잉여는 2,000원에서 1,500원을 뺀 금액임

 

- 2번째 사과의 지불용의 금액이 1,900원이라면 소비자 잉여는 1,900원에서 1,500원을 뺀 400원임
- 마지막 5번째 사과의 소비자 잉여는 1,500원에서 1,500원을 뺀 0원임

 

- 마지막 단위(한계단위)의 소비자 잉여는 0이임
- 그 외의 사과에 대한 개별소비자의 소비자 잉여는 모두 양(+)의 값을 가짐

• 소비자 잉여의 합계는 개별 수요곡선과 거래 가격 1,500원의 수평선이 이루는 삼각형의 면적

 

2) 시장 소비자 잉여
• 시장 소비자 잉여도 시장 수요곡선을 이용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계산함

 

- 만약 수강료가 10만 원이면 시장 수요곡선과 10만 원의 수평선이 이루는 삼각형의 면적임
- 한계소비자(Marginal demander)
: 수강료(가격)가 지금보다 조금 오르면 그 상품(경제학개론 강의)을 사지 않는 소비자
- 한계소비자의 소비자 잉여는 0임
- 한계소비자를 제외한 모든 소비자의 소비자 잉여는 양(+)임

 

3) 가격변화가 소비자 잉여에 미치는 영향
• 수강료가 10만 원에서 11만 원으로 인상되는 경우
- 수강생수는 100명에서 90명으로 감소하고, 소비자 잉여도 감소함

 

: 시장을 떠난 소비자들의 소비자 잉여는 없어짐
> 삼각형 ABC의 면적
: 시장에 남아있는 소비자의 소비자 잉여는 감소함
> 직사각형 110-100-C-B의 면적만큼

 

4) 소비자 잉여와 수요의 가격탄력성

 

• 수요곡선의 탄력성이 커질수록(기울기가 완만해질수록) 소비자 잉여가 작음
• 대체제가 많을수록 수요의 가격 탄력성이 커지고 탄력성이 커질수록 소비자 잉여가 작아짐

 

Ⅱ. 생산자 잉여

1. 공급곡선의 2가지 해석

1) 공급함수로 해석
• 공급함수의 독립변수인 가격이 주어졌을 경우 종속변수인 판매자가 팔고자 하는 수량을 나타냄

 

2) 마샬적 해석(Marshallian interpretation)
• 각각의 공급량이 주어졌을 경우 적어도 받아야 하는 금액을 나타냄
• 공급곡선은 한계비용 곡선이기 때문에 적어도 그 가격은 받아야 함

 

2. 생산자 잉여

• 생산자 잉여(Producer surplus: PS)
- 실제로 받은 금액에서 적어도 받아야 할 금액을 뺀 나머지 금액임
: 생산자 잉여는 생산자의 이윤임

- 사과의 시장 공급곡선에서 받은 금액이 P1임

- 판매량이 Q1일 때 공급자 잉여의 합계는 삼각형 ABC의 면적임

 

• 가격변화가 생산자 잉여에 미치는 영향
- 가격이 인상된 경우

: 가격이 P1에서 P2로 인상되면 공급량이 Q1에서 Q2로 증가하고 생산자 잉여가 증가함
: 새로운 생산자에게 발생한 생산지 잉여는 삼각형 CFE의 면적이고, 기존생산자에게 추가로 발생한 생산자 잉여는 사각형 BCED의 면적임

 

Ⅲ. 완전경쟁시장의 후생경제학적 의미

1. 사회후생의 정의

• 시장 거래로 인한 사회 구성원의 경제적 후생(사회후생)
- 소비자 잉여와 생산자 잉여를 합한 것

: 소비자 잉여(소비자의 편익 – 소비자가 지불한 금액)
: 생산자 잉여(공급자가 받은 금액 – 생산자의 비용)
: 소비자가 지불한 금액과 공급자가 받은 금액은 같음
   > 사회후생(총 잉여, 소비자 잉여 + 생산자 잉여) = 소비자의 편익 – 생산자의 비용

 

2. 자원배분의 효율성

• 자원배분이 소비자 잉여와 생산자 잉여를 합한 총 잉여를 극대화할 때 자원배분이 효율적이라고 함
• 자원배분이 효율적이지 못하면 시장거래로 얻을 수 있는 이득 중 일부를 얻지 못함
• 예시
- 어느 상품의 생산이 생산비가 가장 낮은 생산자에 의하여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자원배분은 비효율적이 됨
   : 고비용 생산자에서 저비용 생산자로 생산활동을 이전시키면 사회적 총 비용이 낮아짐
   : 총 잉여는 증가하여 사회적 후생이 증가함
• 어떤 수요자와 공급자가 시장에 참여하는가?
- 수요자와 공급자는 균형가격을 기준으로 시장 참여 여부를 결정함

 

: 수요자는 균형가격보다 높은 가치를 부여하는 자만이 시장에 참여함
: 그림에서 AE
: 공급자는 균형가격보다 낮은 비용으로 생산할 수 있는 자만이 시장에 참여함
: 그림에서 EC
: 그림에서 소비자 잉여와 생산자 잉여를 합한 총 잉여
   > 세로축에서 균형거래량까지 수요곡선과 공급곡선 사이에 있는 삼각형의 면적임

 

3. 완전경쟁시장의 균형에 대한 평가

• 완전경쟁시장은 시장에 들어온 공급을 시장수요곡선에 따라 지불용의가 큰 사람부터 배분함
• 완전경쟁시장은 시장공급곡선에 따라 가장 싼 가격에 재화를 공급하는 사람에게 수요를 배분함
• 완전경쟁시장은 소비자 잉여와 공급자잉여의 합이 극대화되는 점에서 거래량(생산량)을 결정함(균형거래량)

• 그림에서 원점에서 균형거래량(Q*)에 도달할 때까지는 사회후생이 증가하지만 그 이후에는 사회후생이 감소함
• Adam Smith의 국부론
   - 시장이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것을 보이지 않는 손(Invisible hand)이라고 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