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병목의 개념과 원칙
1) 개념
- 병목은 전체 시스템 흐름 중에서 해당 처리능력이 수요보다 적은 어떤 부문 혹인 자원
- 시스템 산출량을 제한하는 시스템 내부의 제약
- 기계, 부족한 노동인력, 특별한 도구 등에서 나타날 수 있음
“a facility, function, department, or resource whose capacity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demand put upon it." APICs Dictionary 12th Edition
2) 제약된 자원
- 활용률이 거의 한계에 도달해 있고, 세밀하게 계획을 짜지 않으면 발생
- 제약된 자원인 작업단계는 앞선 여러 단계로부터 작업을 받을 경우, 만약 앞선 단계에서 작업량을 갑자기 많이 보내면 제약을 받는 단계에서 병목현상이 발생하게 됨.
- 병목현상은 단위작업량이 변하거나, 선행단계들 중 하나가 어떤 이유로 제대로 역할을 하지 못할 때, 혹은 충분한 작업량을 제약된 자원인 작업단계로 공급하지 못할 때 발생함
3) 생산시간의 구성
- 준비시간
- 공정시간
- 작업 대기시간
- 부품대기시간
- 유휴시간
cf. 병목공정에서는 작업대기시간이 가장 길고, 비병목공정 에서는 부품대기시간이 가장 길다.
4) 병목관리의 원칙
- Utilization of a non-bottleneck resource is not determined by its potential, but by another constraint in the system.
- Utilization of a non-bottleneck 100% of the time does not produce 100% utilization.
- The capacity of the system depends on the capacity of the bottleneck.
- Time saved at a non-bottleneck saves the system nothing.
- Capacity and priority must be considered together.
- Loads can and should be split.
- Focus should be on balancing the flow in the shop
2. 병목의 관리
1) 절차
- Establish a time buffer before each bottleneck.
- Control the rate of material feeding the bottleneck.
- Do everything to provide the bottleneck with capacity.
- Adjust loads.
- Change the schedule.
Back schedule before the bottleneck; forward schedule after the bottleneck.
3. 제약이론 (Theory of Constraints)
1) 제약이론의 특징
- 6시그마와 린 생산방식은 각각의 공정이나 시스템의 각 부분의 낭비와 변동성의 최소화를 통해 원가 절감하는 접근법
- 제약이론은 전체 시스템의 성과에 영향을 주고 있는 주요 공정이나 취약한 공정을 집중적으로 개선하는 접근법
- 동시생산(Synchronous manufacturing) 개념-> 제조공정 전체가 조화를 이루며 동시화 되어움직일 때, 전체 시스템의 성과달성이 가능함
2) Golderatt의 제약이론단계
(1) 시스템의 제약을 파악한다.(제약과 관련된 약점이 발견되지 않으면 개선 가능성은 없다.)
(2) 시스템의 제약을 해결하는 방법을 강구한다.(제약을 가능한 한 효과적으로 만든다.)
(3) (2)에서 내린 결정 외에 다른 결정은 하위에 둔다.(시스템 제약을 줄이기 위해 시스템의
다른 모든 부분을 조정한다.)
(4) 시스템의 제약을 개선한다.
(5) 앞 단계에서 제약이 해결되면 단계1로 돌아간다.(지속적인 프로세스 개선)
3) Drum, Buffer, Rope
모든 생산시스템은 시스템 전반에 걸쳐 흐름을 통제하기 위한 몇 개의 통제지점이 필요
(1) Drum - pace of production set by the constraint
(2) Buffer - inventory established before the constraint
(3) Rope - coordinated release of material
시스템 제약 자원의 소비속도(Drum)에 다른 모든 자원의 소비속도를 맞춘다.
제약자원의 보호를 위한 예비자원(Buffer) 등을 운용한다.
원자재의 투입은 Drum 에 맞추어 동기화(Rope) 시킨다.
'경영학 > 생산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산관리] 26. 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 (0) | 2025.04.23 |
---|---|
[생산관리] 25. JIT / Lean 생산 Ⅰ (0) | 2025.04.23 |
[생산관리] 23. 일정계획 Ⅰ (0) | 2025.04.23 |
[생산관리] 22. 재고관리 Ⅱ (0) | 2025.04.23 |
[생산관리] 21. 재고관리 Ⅰ (0) | 2025.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