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의 유형
- 개인기업 vs 법인기업 (주식회사: 대표적 법인기업)
- 영리 기업 vs 비영리기업
- 제조기업 vs 상품매매기업 vs 서비스기업
1. 주식회사의 특징
- 유한책임: 주주는 투자한 금액의 범위 내에서 책임
- 주권발행: 1주의 액면금액 100원 이상, 소액자본 참여, 거대 자본 축적 가능
- 의결권 행사: 보통주 주식수에 비례하여 행사
- 주권 양도 가능: 개인 간(비상장) 또는 주식시장(상장 및 등록)을 통해 주주의 권리 양도
- 전문경영인 활용: 소유와 경영의 분리 가능
기업 활동
- 재무 활동 (financing) : 자금의 조달(주식발행, 차입)과 상환(배당 지급, 원리금 상환)
- 투자 활동 (investing) : 영업에 필요한 설비자산 등의 취득과 처분(노후자산의 매각)
- 영업 활동 (operating) : 제품이나 서비스를 생산하고 판매하는 과정에서 수행되는 활동(원재료 구매, 생산, 경비지급, 판매)
재무보고와 재무제표
1. 재무보고(financial reporting)
= 기업활동(재무, 투자, 영업)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기업에 관한 경제적 의사결정을 하는 정보이용자 현재 및 잠재적 투자자, 대여자, 기타 채권자 등)에게 유용한 정보(자원 및 청구권, 이익, 현금의 유입과 유출, 자본의 변동)를 제공하는 활동
2. 재무제표(financial statements)
= 재무보고의 핵심 전달수단
재무제표의 종류 | 개 요 |
재무상태표 | 특정 시점(회계기간말)의 자산, 부채, 자본의 재무상태 보고서: (Statement of Financial Position) |
포괄손익계산서 | 일정기간 동안의 당기순손익과 기타포괄손익을 정리한 기업의 경영성과 보고서: (Statement of Comprehensive Income) |
현금흐름표 | 일정기간 동안의 재무, 투자, 영업 활동별 현금 수입과 지출 내역 보고서: (Statement of Cash Flows) |
자본변동표 | 일정기간 동안의 주주 지분의 상세 변동 보고서: (Statement of Changes in Equity) |
주석 | 정보이용자의 의사결정에 유용한 추가적인 정보: (Notes) |
- 연결재무제표: 모든 피지배기업을 포함하여 작성하는 재무제표 (고급재무회계)
- 개별재무제표: 독립적인 개별기업 단독으로 작성하는 재무제표
회계기간과 재무제표
- 회계기간[보고기간]: 재무제표 작성의 대상이 되는 기간
- 결산일: 회계기간 말(또는 보고기간 말)
- 연차 재무제표(Annual Financial Statements): 1년을 회계 기간(예: 1.1.~12.31. 또는 4.1.~3.31.)으로 하는 재무제표
- 중간 재무제표(Interim Financial Statements): 1년 미만의 회계기간을 대상으로 작성되는 재무제표
- 분기 재무제표: 분기(예: 1분기 1.1.~3.31.)
- 반기 재무제표: 반기(예: 상반기 1.1.~6.30.)
회계정보의 산출과 전달과정
1.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
• 국제회계기준(IFRS: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
국제회계기준위원회(IASB: International Accounting Standards Board)가 제정.
세계 120여 개 국가에서 채택.
재무제표의 국가 간 비교가능성 제고
• K-IFRS 이전(K-GAAP):
국제회계기준을 점진적으로 수용. 사실상 국제회계기준과 유사하나 그럼에도 국제회계기준 채택국가로 인정을 받지 못함
• K-IFRS의 채택:
IFRS 전면 채택(2007.11.23). 2011년부터 모든 상장기업 의무 적용. 국제적 신임도 제고. 한국회계 기준위원회(KASB)가 IFRS의 한글 번역 및 제정 담당.
2. 회계감사 제도
• 회계감사제도의 의의:
재무제표가 기업회계기준(K-IFRS)에 따라 적정하게 작성되었는지에 대해서 외부 정보이용자는 이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으므로 해당 기업과 독립적 읶 위치에 있는 공인된 외부감사인(공읶회계사)을 통하여 외부감사를 실시하여 재무제표의 신뢰성을 제고
• 외부감사 대상:
주권상장법인 또는 자산총액 100억 이상인 주식회사 등 대상(‘주식회사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
• 감사의견:
공인회계사는 재무제표가 K-IFRS(기업회계기준)를 준수했는지를 회계감사기준에 따라 검증하여 감사보고 서를 통하여 적정의견, 한정의견, 부적정의견, 의견거절 등 감사의견을 표명함
종 류 | 개 요 |
적정 의견 (unqualified opinion) | ①감사인의 독립성이 유지될 것 ②감사범위에 제한이 없을 것 ③회계정책에 대한 외부감사인의 의견이 경영자의 의견과 일치할 것 이 세 가지 조건이 충족 될 경우에 표명 |
한정 의견 (qualified opinion) | 일정한 예외사항을 제외하고는 재무제표가 전체적으 로 적정하게 표시되어 있다고 판단될 때 표명 |
부적정 의견 (adverse opinion) | 회계정책에 대한 의견차이가 매우 중요하여 이를 수정하지 않는 한 재무제표 자체의 의미가 상실되거나 재무제표 전체를 오도할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 표명 |
의견 거절 (disclaimer of opinion) | 감사범위의 제한이 매우 중요하여 의견표명에 충분핚 감사증거를 확보하지 못하였을 때에 표명. 또한 감사인의 독립성이 결여되면 중요성 여부에 관계없이 감사의견 표명을 거절해야 함 |
재무회계의 구조적 틀
1. 재무회계의 목적
= 기업을 둘러싼 외부 정보이용자의 경제적 의사결정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
※경제적 의사결정 자체가 재무회계의 목적은 아님
- 재무상태표 : 재무상태에 관한 정보
- 포괄손익계산서 : 경영성과에 관한 정보
- 현금흐름표, 자본변동표 : 현금흐름 및 재무상태변동에 관한 정보
2. 재무제표 작성의 기본가정
- 계속기업(going concern)의 가정:
재무제표는 일반적으로 기업이 계속기업이며 예상가능한 기간 동안 영업을 계속할 것이라는 가정 하에 작성
3. 재무정보의 질적 특성
• 근본적
목적 적합성 (relevance)
- 예측 가치
- 확인 가치
- 중요성(materiality)
충실한 표현 (faithful representation)
- 완전한(complete) 서술
- 중립적 서술
- 오류 없는 서술
• 보강적
비교가능성
유사점과 차이 점을 식별 가능하게 함
일관성은 비교 가능성의 달성 수단이 됨
검증가능성
어떤 서술이 충실한 표현이라는 데 (완전하게는 아니더라도) 의견 일치할 수 있음
적시성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정보를 제때에 이용가능하게 함
이해가능성
정보를 명확하고 간결하게 분류하고 특징지으며 표시하면 됨
4. 재무제표의 요소
= 재무제표는 거래나 그 밖의 사건의 재무적 영향을 경제적 특성에 따라 대분류 하여 나타냄
- 재무상태표에서 재무상태의 측정과 직접 관련된 요소: 자산, 부채, 자본
- 포괄손익계산서에서 성과의 측정과 직접 관련된 요소: 수익과 비용
- 재무상태변동표(현금흐름표와 자본변동표)의 요소: 재무상 태표 요소의 변동과 포괄손익계산서 요소를 반영하므로, 별 도의 요소를 식별할 필요가 없음
재무상태 관련 요소
• 자산 (Assets)
과거 사건의 결과로 기업이 통제하고 있고 미래 경제적 효익 이 기업에 유입될 것으로 기대되는 자원.
(자산이 갖는 미래 경 제적 효익이란 직접으로 또는 간접으로 특정 기업의 미래 현금 및 현금성자산의 유입에 기여하게 될 잠재력을 말함)
• 부채 (Liabilities)
과거 사건에 의하여 발생하였으며 경제적 효익을 갖는 자원 이 기업으로부터 유출됨으로써 이행될 것으로 기대되는 현재 의무.
(현재의무와 미래의 약속은 구별됨: 미래에 특정 자산을 취득하겠다는 경영자의 의사결정 그 자체만으로는 현재의무가 발생하지 아니함.)
• 자본 (Owner’s Equity)
기업의 자산에서 모든 부채를 차감란 후의 잔여지분.
(자본총액은 그 기업이 발행한 주식의 시가총액 또는 순자산을 나누어서 처분하거나 기업 전체로 처분할 때 받을 수 있는 대가와 일치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임)
경영성과 관련 요소
• 수익 (Revenues)
수익은 자산의 유입이나 증가 또는 부채의 감소에 따라 자본의 증가를 초래하는 특정 회계 기긴 동안에 발생한 경제적 효익의 증가로서, 지분참여자에 의한 출연과 관련된 것은 제외함
• 비용 (Expenses)
비용은 자산의 유출이나 소멸 또는 부채의 증가에 따라 자본의 감소를 초래하는 특정 회계기간 동안에 발생한 경제적 효익의 감소로서, 지분참여자에 대한 분배와 관련된 것은 제외함
5. 재무제표 요소의 인식과 측정기준
• 정의:
인식(recognition)이란, 경제적 사건(거래)으로 발생한 항목을 자산, 부채, 자본, 수익, 비용이라는 재무제표 요소로 재무제표에 공식적으로 반영하는 과정
☞ 재무제표 항목으로 인식되기 위해서는 재무제표 요소의 정의를 충족시키고 다음 두 인식기준을 모두 충족시켜야 함
• 인식기준:
(1) 해당 항목과 관련된 미래 경제적 효익이 기업에 유입되거나 기업으로부터 유출될 가능성이 높아야 함
(2) 해당 항목의 원가나 가치를 측정기준으로 신뢰성 있게 측정할 수 있어야 함
• 인식의 예:
자산[매출채권(회수가능성), 재고자산(판매가능성)]
부채[소송사건(패소가능성)], 수익[매출(판매시점)]
• 재무제표 요소의 측정:
측정(measurement)이란, 재무제표에 인식되고 평가되어야 할 재무제표 요소의 화폐금액을 결정하는 과정
(특정 측정기준의 선택과정을 포함함)
• 측정기준: 역사적 원가, 현행원가, 실현가능[이행] 가치, 현재가치
- 역사적 원가: 취득 또는 부담시점의 공정가치
- 현행원가: (지금) 재취득 시 금액, 의무 이행 금액
- 실현가능[이행] 가치: 처분 시 받을 금액, 부채 상환에 예상되는 금액
- 현재가치: 미래 순현금 유입 또는 유출의 현재가치
'회계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계학] 3. 재무상태의 측정과 보고 (0) | 2023.05.23 |
---|---|
[회계학] 1. 회계시스템 및 회계학의 기초 (0) | 2023.05.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