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영학/경제학개론

[경제학개론] 1. 경제학의 기본성격과 연구방법

by study-mate-jennie 2023. 6. 21.
반응형

Ⅰ. 경제학의 정의

1. 경제학을 공부하는 목적

• 현실의 경제가 어떻게 움직이는지를 체계적으로 이해하기 위함
• 합리적 선택의 기본원리를 익히고자 함

 

2. 경제를 의미하는 Economy의 어원

• 영문 표기
   - 경제학 → Economics
   - 경제 → Economy
      : 그리스어의 ‘Oikonomos(=집안 살림하는 사람)’에서 유래

 

• 어원으로 보면, 경제와 집안 살림사이에는 공통점이 많이 존재함

 

• 어느 가정이든지 수많은 결정을 해야 함
   - 누가 저녁을 차려야 할지, 누가 빨래를 해야 할지, 저녁 식탁에서 누가 맛있는 디저트를 먹어야 할지, 누가 자동차를 운전해야 할지 등 식구 중 누가 어떤 일을 하고 또 그 대가로 무엇을 받아야 할지를 결정해야 함

 

• 한 가계는 각 식구의 능력, 노력, 희망에 따라 제한된 자원(시간, 디저트, 승용차 주행거리)을 식구들에게 나눠 주어야 함

 

• 사회도 많은 결정을 해야 함
   - 누군가는 옷을 만들어야 하고, 누군가는 쌀농사를 지어야 하고, 누군가는 컴퓨터프로그램을 만들어야 함

 

• 한 사회가 사람들을 여러 가지 일에 종사하도록 한 뒤에는 생산된 재화와 서비스를 배분해야 함

 

• “사회가 가지고 있는 자원을 관리하는 건 중요한 일이다. 왜냐하면, 자원은 희소하기 때문이다.”

 

3. 경제학은 선택의 과학이다.

• 경제학
   - 사람들의 물질적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희소한 자원을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를 연구하는 사회과학
      : 사회 → 인간들의 모임을 의미
      : 과학 → 객관적인 과학적 연구방법을 사용한다는 의미
      : 희소한 자원을 관리한다는 의미 → 자원이 쓰일 수 있는 여러 가지 용도(대안) 중에서 어떤 대안을 선택한다는 의미

 

• 경제학은 사회 또는 개인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경제적 선택행위를 연구대상으로 함

 

• 전통적으로는 상품의 생산, 교환, 소비와 관련된 문제를 연구하는 학문으로 인식되어 왔음

 

• 요즘의 추세는 경제학은 희소한 자원과 관련된 선택의 문제이면, 전통적인 범위를 훨씬 벗어나는 현상까지 영역을 넓혀가고 있음
   - 가정의 경제학, 범죄의 경제학, 스포츠 경제학 등

 

Ⅱ. 자원의 희소성과 기회비용

1. 자원의 희소성

• 인간이 사용할 수 있는 자원은 제한되어 있으나 인간의 욕망은 한이 없음

 

• 우리는 항상 더 좋은 집에서 살고 싶고, 좋은 음식을 먹고 싶으며, 더 좋은 교육을 받고 싶어 함

 

• 만약, 자원도 무한하다면 우리는 항상 더 좋은 집에서 살 수 있고, 더 좋은 음식을 먹을 수 있으며, 더 좋은 교육을 받을 수 있음

 

• 자원이 유한하기 때문에 3가지 대안(더 좋은 집, 더 좋은 음식, 더 좋은 교육) 가운데 어떤 것은 포기하여야 함
   - 즉, 여러 가지 대안 중 선택을 하여야 함

 

• 이와 같은 현상을 자원의 희소성이라고 함
   - 자원의 희소성(scarcity)
      : 단지 자원의 양이 적다는 의미가 아니라 사람이 가지고 싶은 만큼 다 가질 수 없다는 사실을 의미

 

2. 기회비용

• 자원의 희소성은 여러 가지 대안 중에서 하나를 선택할 것을 강요함

 

• 어떤 대안을 선택한다는 것은 다른 대안을 포기하는 것을 의미함

 

• 기회비용(opportunity cost)이란
   - 여러 가지 대안 중에서 선택을 하는 경우 포기한 대안 중 가장 가치가 있는 대안의 가치로 정의

 

• 사례 <대학 진학에 대한 기회비용은 무엇일까?>

  • 대학에 진학하는 대안과 진학하지 않는 대안의 예상 가치, 예상 순편익(편익–비용)을 비교하여 의사결정을 함
  • 대학 진학을 선택한 것은 대학 진학의 순편익이 대학에 진학하지 않는 대안의 순편익의 가치보다 크기 때문임
  • 따라서 대학 진학에 대한 기회비용은 대학 진학을 하지 않는 대안의 가치를 계산하면 됨
  • 대안의 가치를 계산

우선, 등록금, 책값, 하숙비, 식비 등 현금 비용을 생각할 수 있으나, 이것은 대학에 다니기 위해 포기해야 하는 것을 정확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음
      > 대학 진학을 포기한다고 해도 잠자고 먹는 비용은 계속 지불해야 함
* 하숙비와 식비 그 자체는 대학에 다니기 때문에 추가로 지불해야 하는 금액은 아님
* 대학에 다니기 때문에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하숙비와 식비를 더 부담한다면 그 차액만큼 비용에 포함해야 함
     

      > 대학에 다니는 시간 비용을 누락시킨다는 점
* 대학에 다니는 동안 강의 듣고, 시험 보고, 리포트 쓰는 시간에는 다른 직업에 종사할 수 없음
* 대부분의 학생들에게는 학교에 다니는 시간 동안 돈을 벌 수 있는 잠재적 임금소득이 대학에 다니는 가장 큰 기회비용임

 

Ⅲ. 경제의 3가지 기본 문제, 경제학적 사고와 한계 개념

1. 경제의 3가지 기본 문제

1) 자원의 희소성으로 인한 3가지 문제 해결

(1) 무엇을 생산할 것인가?(What to produce?)
• 한정된 재화를 가지고 어떤 재화와 서비스를 얼마나 생산할 것인가를 선택하는 문제
• 음식물을 얼마나 생산할 것인지, 국방서비스를 얼마나 생산할 것인지, 주택은 어느 정도 생산할 것인지를 결정해야 문제

 

(2) 어떤 방법으로 생산할 것인가?(How to produce?)
• 어떤 재화와 서비스를 얼마나 생산할 것이 결정되면 어떤 방법으로 생산할 것인지를 결정해야 함
• 자본과 노동 중 어떤 것을 더 투입할 것인지, 민간부문에서 생산할 것인지 공공부문에서 생산할 것인지 등을 결정해야 함

 

(3) 생산한 재화와 서비스를 누구에게 배분할 것인가?(For whom to produce?)
• 일단 결정된 방법으로 재화와 서비스의 생산량이 결정되면 이것을 누구에게 배분할 것인지를 결정해야 함

 

2. 경제학적 사고와 한계 개념

1) 경제학만이 아니라 정치학, 사회학, 심리학 등 다른 사회과학에서도 선택에 관심이 있음
• 정치학에서는 유권자들이 어떻게 국회의원을 선택하는지를 연구함
• 심리학에서는 사람들이 어떻게 친구를 선택하는지를 연구함
• 사회학에서는 미혼모 가정이 늘어나는 요인을 분석하는데, 이 경우에도 미혼모의 선택 문제(아이를 낳을 것인가 아닌가)를 분석함

 

2) 경제학은 3가지 면에서 다른 사회과학과 차이 있음
(1) 인간의 선택 행위를 분석할 때 기회비용을 중요시한다.
• 하나의 행위를 선택한다는 것은 다른 하나의 행위를 포기하는 것이라면 여러 가지 대안의 예상 순편익(편익-비용)이 선택행위에 영향을 미침
• 선택할 수 있는 대안이 변화하면 선택 행위도 변화하므로 기회비용도 변함
• 예를 들어, 비 오는 날에 독서하는 기회비용이 날씨가 좋은 날에 독서하는 기회비용보다 작다고 예상할 수 있음
• 선택할 수 있는 대안을 중요시한다는 의미이기도 함

 

(2) 인간의 선택 행위를 선택할 때 특정한 목표의 가치를 극대화하거나 극소화한다고 가정한다.
• 소비자는 자신의 효용을 극대화한다고 가정하고, 기업은 이윤을 극대화한다고 가정함

 

(3) 인간의 선택은 한계적으로 이루어진다고 가정한다.
• 한계적으로 이루어진다는 선택은 ‘조금 더(a little more)’ 또는 ‘조금 덜(a little less)’의 선택을 의미함

 

• 예를 들어, 몇 시간을 일하고 몇 시간을 여가로 쓸 것인지를 선택할 때 1시간을 더 일할 때 자신에게 어떤 영향이 오는지를 보고 결정을 내림

   - 1시간 더 일을 함으로써 더 많은 소득을 얻는 반면, 여가를 즐기므로 오는 즐거움이 얼마나 줄어드는지를 생각해 봄
   - 만약 소득이 늘어남으로써 증가한 효용의 증가가 여가가 줄여서 오는 효용의 감소보다 크다는 판단이 들면 1시간을 더 많이 일하기로 함

 

Ⅳ. 과학적 연구 방법

1. 경제학은 과학이다.

• 과학적인 객관성을 가지고 경제문제를 연구함

 

• 경제학자가 경제현상을 연구하는 것은 물리학자가 물리현상을 연구하고, 생물학자가 생명체를 연구하는 것과 다르지 않음

 

• 먼저 가설(hypothesis)을 만들고,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그 가설이 맞는지 검증함
   - 가설이 맞는 것이라고 검증되면, 가설을 이론(theory)이라 함

 

• 경제학자가 시험관이나 망원경을 가지고 연구하는 것은 아니기에 경제학을 처음 접하는 사람에게는 경제학이 과학이라는 말이 이상하게 들릴 수 있음
   - “과학의 핵심은 연구하는 대상이 자연현상이냐 사회현상이냐가 아니라, 이 세상이 어떻게 되어 있는지에 대한 엄정한 관찰과 검증인 과학적 연구방법론을 사용하느냐의 여부이다.”

 

• 이러한 방법론은 지구 중력에 의한 연구나 생명체 진화에 관한 연구나 나라 경제에 관한 연구 등에 모두 적용됨

 

• 알베르트 아인슈타인(Albert Einstein)
   - “과학이란 일상의 생각을 정밀하게 가다듬은 것에 불과하다.”
      : 물리학과 같은 자연과학은 물론 경제학과 같은 사회과학에도 성립하는 말이지만, 사람들은 대부분 사회현상을 과학적인 시각으로 들여다보는 데에 익숙하지 않음

 

2. 과학적 방법론은 관찰, 가설 그리고 또 관찰을 하는 것이다.

• 뉴턴(Newton)
   - 사과나무에서 사과가 떨어지는 것을 보고 두 물체 간에 적용되는 만유인력의 법칙을 발견함
      : 이후 실험을 통하여 사과가 떨어지는 현상뿐 아니라 대부분의 경우에 성립된다는 사실을 입증함
      : 뉴턴의 가설은 관찰된 현상을 너무나 잘 설명했기 때문에 오늘날 전 세계의 물리학과에서 이론을 가르치고 있음

 

- 관찰된 현상과 이론의 이러한 관계는 경제학에서도 그대로 적용

 

• 가설
   - 어느 경제학자가 자기가 사는 나라에서 물가가 빠른 속도로 상승하고, 그는 이러한 관찰을 토대로 인플레이션에 관한 이론을 만들기로 했고 인플레이션은 정부가 너무 많은 돈을 발행해서 발생하는 것이라고 결론지었다고 하자.
      : 이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경제학자는 다른 여러 나라의 물가와 통화량 자료를 수집해서 분석해야 함
      : 통화량의 증가가 물가상승률과 전혀 무관한 것으로 나타났다면, 그는 인플레이션 가설의 유효성을 의심해야 함
      : 반면, 국가 간 비교를 통하여 통화량 증가와 물가상승률 사이에 밀접한 관계가 나타났다면, 그는 자신의 이론을 확신함

 

• 경제학자도 다른 과학자와 마찬가지로 가설과 관찰에 의존하지만 경제학에는 독특한 어려움이 있음
   - 경제학에서는 실험이 매우 어렵거나 불가능한 경우가 있음
      : 인플레이션에 관한 자료를 얻기 위하여 한 나라의 통화정책을 마음대로 조절할 수는 없음
      : 천문학자나 생물 진화를 연구하는 생물학자처럼 우연히 만들어지는 현상과 자료에 의하여 연구할 수밖에 없음

 

• 경제학 연구는 실험실에서 실험할 수 없기 때문에 역사적 경험을 얻은 자료에 크게 의존함
   - 사례 <중동전쟁이 발발하여 원유 공급이 중단되면 전 세계적으로 석유 가격이 폭등할 것이다.>
      : 석유나 석유 제품을 소비하는 소비자들의 생활수준이 낮아지고, 정책 당국자들은 최선의 대응책을 찾기 위한 어려운 선택에 직면함
      : 이러한 사건은 천연자원의 가격 변화가 세계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볼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제공하며, 전쟁이 끝난 이후에도 이러한 상황은 상당 기간 계속됨

 

Ⅴ. 경제변수와 경제모형

1. 개요

• 고등학교 생물 시간에 플라스틱으로 만든 인체 모형을 사용해서 인체의 구조를 설명함
• 이 플라스틱 모형에는 심장, 간, 신장 등 사람의 주요 장기가 있는데, 모형은 단순성에도 불구하고 인체의 구조가 어떻게 생겼는지 이해하는데 도움이 됨
• 경제학에서도 현실세계를 이해하기 위해 모형을 사용함
• 그러나 경제학 모형은 그래프와 방정식으로 구성됨
• 인체 모형과 마찬가지로 현실의 자세한 부분보다는 훨씬 단순화되어 오히려 중요한 것을 볼 수 있게 해 줌

 

2. 경제모형의 기본 골격

1) 경제변수
• 변수(variable)는 여러 가지 다른 값을 취할 수 있는 수를 의미함
   - 가격(P), 상품의 양(Q), 이자율(r), 국민소득(Y) 같은 것이 경제모형에 포함되는 변수의 대표적인 예임
   - 경제변수는 경제모형을 구성하는 기본적인 요소이므로, 경제모형을 만들 때는 우선 모든 변수들을 분명하게 정의해야 함

 

2) 가정
• 우리가 관심을 갖고 있는 행태 또는 동기 등에 관한 일련의 가정(assumption)으로부터 출발하는 것이 보통
   - 예를 들어, 소비자의 선택 행위를 분석하는 모형은 소비자는 효용을 극대화한다는 가정에서 출발함
   - 경제학자가 즐겨 쓰는 가정법: ‘다른 조건이 일정하다면(if other things is equal)’
   - 별로 중요하지 않은 일까지 고려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피하기 위하여 이 가정을 자주 활용함

 

3) 가설
• 가설(hypothesis)은 가정으로부터 논리적 추론에 의한 분석의 결과로써 얻어지는 명제
   - 가설은 여러 가지 형태로 표현될 수 있으나, 조건부적인 예측의 형태를 가질 경우가 많음
   - 예를 들어, 앞에서 언급한 통화량이 증가하면 인플레이션이 발생함
   - 이 가설이 현실에 부합되는 것이 과학적 방법으로 검증되면 이를 이론(theory)이라고 함

 

Ⅵ. 경제학의 분류

1. 미시경제학과 거시경제학

1) 미시경제학(microeconomics)
• 개별 경제주체의 선택과 개별 시장에 초점을 맞춤
• 개별적인 상품과 생산요소에 대한 수요와 공급이 어떻게 결정되며, 이들의 가격과 거래량이 어떻게 결정되는지가 주요 관심사임

 

2) 거시경제학(macroeconomics)
• 국민경제 전반의 움직임에 관심을 갖고 있기 때문에 총생산량, 총고용량, 물가 수준, 국제수지 등 경제전반에 관한 지표가 중요한 논의 대상임

 

2. 실증경제학과 규범경제학

1) 실증경제학(positive economics)
• 현실을 객관적으로 이해하는 중점을 두는 분야
• 예를 들어, 청년 실업 문제의 경우 청년 실업 문제가 어떤 이유에서 발생했으며, 이로 인한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중점을 둠
• 실증적 주장은 나타난 증거를 검사함으로써 인정하거나 부정할 수 있음

 

2) 규범경제학(normative economics)
• 이 세상이 어떻게 변화해야 하는지에 중점을 두는 분야
• 예를 들어, 청년 실업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어떤 정책이 바람직한가의 문제에 중점을 두는 접근법임
• 규범적 주장은 사실뿐 아니라 가치관이 개입됨
• 무엇이 좋은 정책인지 나쁜 정책인지를 판단하는 것은 단순한 과학의 영역이 아니고, 거기에는 윤리관, 종교, 정치 철학 등이 개입됨
   ※ 실증적 주장과 규범적 주장은 근본적 다르나, 사람의 마음속에는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을 수 있음
• 최저임금제가 실업을 유발한다는 것이 사실이라면 최저임금 인상 주장은 거부되어야 할지 모르나 규범적 판단은 실증적 분석에만 의존해서는 안 된다.
• 실증적 분석과 가치관이 입각한 판단이 함께 적용되어야 한다.

반응형